Home >

길에 관한 독서 - 이문재

2001.07.19 11:50

윤성택 조회 수:1576 추천:291

『내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줄 때』/ 이문재 / 민음사


        길에 관한 독서


        1
        한때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주곤 했을 때
        어둠에도 매워지는 푸른 고추밭 같은 심정으로
        아무 데서나 길을 내려서곤 하였다
        떠나가고 나면 언제나 암호로 남아 버리던 사랑을
        이름부르면 입 안 가득 굵은 모래가 씹혔다

        2
        밤에 길은 길어진다
        가끔 길 밖으로 내려서서
        불과 빛의 차이를 생각다 보면
        이렇게 아득한 곳에서 어둔 이마로 받는
        별빛 더 이상 차갑지 않다
        얼마나 뜨거워져야 불은 스스로 밝은 빛이 되는 것일까

        3
        길은 언제나 없던 문을 만든다
        그리움이나 부끄러움은 아무 데서나 정거장의 푯말을 세우고
        다시 펴보는 지도, 지도에는 사람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4
        가지 않은 길은 잊어버리자
        사람이 가지 않는 한 길은 길이 아니다
        길의 속력은 오직 사람의 속력이다
        줄지어 가는 길은 여간해서 기쁘지 않다



[감상]
그 친구는 숨막히는 아버지와의 단절을 삶에서 각인했습니다. 아버지는 중풍이었고, 가족은 아버지의 쓸쓸한 뒷모습이었습니다. 휴일 대낮 공원에서 그 친구는 깡소주에 새우깡을 먹자고 했습니다. 나는 머뭇거렸습니다. 그가 쓰는 시는 모두 콘크리트, 시멘트뿐이었습니다. 낮술에 취하자 그는 내가 읽고 있던 이 시집을 달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언젠가 너덜거리는 이 시집이 그의 가방에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해 가을, 콘크리트가 도배된 그의 시가 대학문학상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그는 길을 가듯, 훌쩍 군대에 갔습니다. 지금은 인연의 끊긴 다리를 건넜던 것일까요. 길은 언제나 문을 만듭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1 빗방울 화석 - 배한봉 2003.01.07 956 168
50 누와르론(論) - 박수서 2003.08.07 955 149
49 푸르른 소멸·40 [즐거운 놀이] - 박제영 [1] 2002.11.14 955 172
48 붉은 염전 - 김평엽 2009.12.10 954 131
47 뻘 - 유지소 2002.12.13 954 161
46 로컬 버스 - 김소연 2010.01.19 952 113
45 무너진 다리 - 송재학 2003.01.02 950 170
44 황실대중사우나 - 전윤호 2002.12.10 950 191
43 자폐, 고요하고 고요한 - 최을원 2009.12.15 949 129
42 1월의 폭설 - 홍신선 2003.02.06 949 182
41 목수의 노래 - 임영조 2002.12.06 949 167
40 수궁에서 놀다 - 박진성 2003.02.11 947 162
39 엘리스와 콩나무 - 김참 2002.12.17 946 169
38 숲 - 이기선 2009.11.09 945 112
37 상상동물 이야기·5 - 권혁웅 2003.03.28 942 154
36 빙점 - 하린 2011.01.15 941 81
35 연리지 - 박소원 [1] 2011.01.07 941 112
34 경비원 박씨는 바다를 순찰중 - 강순 2003.04.30 939 160
33 사랑의 물리학 - 박후기 [1] 2009.11.05 938 105
32 죽음의 강습소 - 박서영 2003.01.09 937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