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비망록 - 김경미

2001.09.12 11:56

윤성택 조회 수:1375 추천:201

83년 신춘문예 당선작 / 김경미 / 중앙일보


           비망록

  햇빛에 지친 해바라기가 가는 목을 담장에 기대고 잠시 쉴 즈음. 깨어 보니 스물 네 살이었다. 神은, 꼭꼭 머리카락까지 졸이며 숨어 있어도 끝내 찾아 주려 노력하지 않는 거만한 술래여서 늘 재미가 덜했고 他人은 고스란히 이유 없는 눈물 같은 것이었으므로.

  스물 네 해째 가을은 더듬거리는 말소리로 찾아왔다. 꿈 밖에서는 날마다 누군가 서성이는 것 같아 달려나가 문 열어 보면 아무 일 아닌 듯 코스모스가 어깨에 묻은 이슬발을 툭툭 털어내며 인사했다. 코스모스 그 가는 허리를 안고 들어와 아이를 낳고 싶었다. 유잣속처럼 붉은 잇몸을 가진 아이.

  끝내 아무 일도 없었던 스물 네 살엔 좀더 행복해져도 괜찮았으련만. 굵은 잇몸을 가진 산두목 같은 사내와 좀더 오래 거짓을 겨루었어도 즐거웠으련만. 이리 많이 남은 행복과 거짓에 이젠 눈발 같은 이를 가진 아이나 웃어 줄는지. 아무 일 아닌 듯. 해도,

  절벽엔들 꽃을 못 피우랴. 강물 위인들 걷지 못하랴. 문득 깨어나 스물 다섯이면 쓰다 만 편지인들 다시 못 쓰랴. 오래 소식 전하지 못해 죄송했읍니다. 실낱처럼 가볍게 살고 싶어서였읍니다. 아무것에도 무게 지우지 않도록.


[감상]
좋은 시은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습니다. 그 감정, 그 느낌 고스란히 詩 행간에 알알이 배여 오래도록 감정의 진국을 남겨줍니다. 이 시를 처음 읽었을 때 아마 저는 스물 다섯이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어쭈? 하면서 읽었던 치기가 생각나는군요. 제가 불에 덴 것처럼 후줄 뜨거웠던 부분은 "코스모스 그 가는 허리를 안고 들어와 아이를 낳고 싶었다. 유잣속처럼 붉은 잇몸을 가진 아이"부분입니다. 잉태에 대한 여성의 섬세한 시선, 경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는 "산두목 같은 사내"는 아니지만, 어쩐지 가슴털 뽀송뽀송한 남자가 되고 싶어집니다. 근 20년 전 詩가 이 가을, 나를 그곳으로 안내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91 강가의 묘석 - 김병호 2006.01.23 1592 255
1090 오늘 당신을 만난 데자뷰 - 박선경 2006.01.11 1824 255
1089 파도 - 김영산 2005.09.01 2240 255
1088 나는 시간을 만든다 - 박상순 2001.07.31 1439 255
1087 반성 16 - 김영승 2001.05.29 1316 255
1086 목수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 유용주 2001.05.09 1263 255
1085 공터의 행복 - 권정일 [2] 2006.01.19 2085 254
1084 오래된 마루는 나이테가 없다 - 차주일 [1] 2005.09.29 2314 254
1083 울고 있는 아이 - 배용제 2001.08.03 1496 254
1082 유리꽃 - 이인철 2006.04.03 2589 253
1081 백제탑 가는 길 - 신현림 2001.05.03 1332 252
1080 해바라기 - 조은영 [1] 2005.11.01 3023 251
1079 날 저문 골목 - 안숭범 2006.04.07 1613 250
1078 사랑은 - 이승희 2006.02.21 2977 250
1077 흔적 - 배영옥 [2] 2005.11.16 2277 250
1076 고백 - 정병근 [1] 2005.08.17 2712 250
1075 聖 - 황학주 2001.10.18 1310 250
1074 마포 산동네 - 이재무 2001.05.08 1697 250
1073 책들 - 강해림 2006.07.07 1882 249
1072 별 - 김완하 2002.08.12 2923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