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지하역 - 이기와

2001.12.04 14:39

윤성택 조회 수:1194 추천:208

『바람난 세상과의 블루스』/ 이기와 / 다층



             지하역
    
        지하30미터,
        한때는 만개한 꽃처럼 구김없는 선명한 모양의 화석들이
        이곳 어디엔가 오랜 비밀로 박혀 있음직도한
        수 천, 수 만년 동안 지하 어둠의 사슬에 묶여 미동도 없던
        영혼들이 길이 뚫리고 빛이 스며들면서 하나 둘 마법에서
        풀려나 지금은 내가 서 있는 언저리를 휙휙 날아다닐 것도
        같은
        지하역.
        아직 콘크리트로 덮이지 않은 시간이 벽과 천장의 구석진 곳에
        은밀히 흐르고 있다.
        (열차가 도착하고 있습니다. 승객여러분께서는 안전선 안으로
        한 걸음 물러나 주시기 바랍니다.)
        육체없이 영혼만 타고 내리는 열차도 있을까?
        요즘들어 내 영혼보다 비대해진 몸뚱아리가 거추장스럽다.
        공복의 허전함으로 비롯된 심약한 생각의 끈을 자르고
        안전선 안으로 한 걸음 물러선다. 충족되지 못한 뱃속의
        허기처럼.

        보호구역 안에서도 늘 불안감을 느끼는 206개의 뼈마디로
        지탱하기 힘든 지상의 무게가 선로 위에 앉은 빛 한줌까지
        파르르 떨게 한다.
        희끗희끗 색이 바랜 벽화의 인물처럼 창백한 얼굴들이
        승차구에 모여든다.
        어쩌다 땅속까지 추방당한 아침.
        거추장스러운 그림자를 하나씩 끌고 언젠가 화석으로 남을
        시간들을 등에 지고, 깜깜한 터널 속을 유심히 살피고 있는
        저 눈동자들.
        어둠의 틈새로 열차의 헤드라이트가 번쩍이는 순간 닫혀있던
        마음의 동공이 환히 열린다.
        언젠가는 출구없는 지하역에서 영원히 맴돌지라도
        아직은 살아 지상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감상]
문화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기와 시인의 첫 시집이 나왔습니다. 이 시는 도시에서 각박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단면을 읽을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지하철을 타기 위해 지하에 있는 사람들을 "거추장스러운 그림자를 하나씩 끌고 언젠가 화석으로 남을"로 표현한 직관적인 부분도 내내 인상에 남습니다. 벌레들의 길까지 파고든 우리의 모습, 어쩐지 다시금 반추해보게 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51 안녕 - 박상순 [4] 2007.06.20 1785 139
150 벽 - 유문호 [1] 2006.04.25 1786 219
149 못은 밤에 조금씩 깊어진다 - 김경주 [1] 2006.08.17 1791 196
148 겨울 모스크바 편지 - 김성대 [1] 2011.02.11 1791 128
147 아직은 꽃 피울 때 - 하정임 2004.08.19 1792 197
146 사랑에 대한 짤막한 질문 - 최금진 2001.12.03 1799 207
145 첫사랑 - 진은영 [2] 2001.09.11 1801 190
144 제기동 블루스·1 - 강연호 [2] 2001.04.10 1802 283
143 민들레 - 이윤학 2001.06.13 1805 285
142 선풍기 - 조정 [1] 2005.01.25 1807 178
141 오래전에 잊은 이의 눈썹 - 허수경 [2] 2011.03.15 1817 146
140 뒤란의 봄 - 박후기 [1] 2006.04.01 1822 233
139 오늘 당신을 만난 데자뷰 - 박선경 2006.01.11 1824 255
138 남해 유자를 주무르면 - 김영남 2011.04.06 1826 160
137 아침의 시작 - 강 정 [1] 2007.04.17 1827 164
136 식당에 딸린 방 한 칸 - 김중식 [1] 2001.05.02 1828 278
135 저무는 풍경 - 박이화 [1] 2006.05.02 1828 208
134 별이 빛나는 밤에 - 장만호 2008.11.26 1829 128
133 당신은 - 김언 [1] 2008.05.26 1837 162
132 삼십대 - 심보선 [1] 2008.05.27 1842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