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너무 아름다운 병 - 함성호

2001.12.19 18:20

윤성택 조회 수:1634 추천:217

『너무 아름다운 병』/ 함성호/ 문학과 지성사
    
                            

             너무 아름다운 병



           아프니?
           안녕 눈동자여, 은빛 그림자여, 사연이여
           병이 깊구나
           얼마나 오랫동안 속으로 노래를 불러
           네가 없는 허무를 메웠던지
           그런
           너의 병은 왜 이렇게 아름다운지
           어떤 무늬인지 읽지 않았으니
           아무 마음 일어날 줄 모르는데
           얼마나 많은 호흡들이 숨죽이고 있는지
           한 발짝도 내디딜 수 없는 압력
  
           휘청, 발목이 잘려나간 것처럼
           한없이 무너지고 싶다
           밥 먹어
           너의 아름다운 병도 밥을 먹어야지
           별다방 아가씨가 배달 스쿠터를 타고
           전화번호가 적힌 깃발을 휘날리며 지나간다
           누가 부르지도 않았는데
           참혹한 욕망이 문지방까지 와서
           기다리고 있다
  
           돌아가자
           너의 아름다운 병을
           검은 아스팔트까지 바래다주러 간다
           가면, 오래오래 흐린 강 마을에서
           집의 창을 만지는 먼지들과 살 너와
           돌아서면 까맣게 잊고
           이미 죽은 나무에 물을 뿌릴 나는
           저리위- 독주에 취해 더 깊은 병을 볼 거면서
  
           먼 길로
           일부러 먼 길로
           너의 아름다운 병을
           오래오래 배웅한다
  


[감상]
병을 앓는 것이 때론 아름다울 때가 있습니다. 밤새 뒤척이며 심장 부근에서 아파 오는 통증, 어쩌면 그리움이 응어리진 것인지 아니면 슬픔이 단단한 옹이진 것인지 그렇게 아플 때가 있습니다. 이 까닭 모를 병을 이 시는 과감하게 "아름다운"이라는 수식을 붙입니다. 살아가면서 이 아름다운 병이 몇 번이나 찾아올까요? 혹시 지금 당신이 앓고 있는 것이 이 병이었을까. 일부러 먼길로 배웅하는 병. 청진기 같은 차가움이 바람으로 부는 겨울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51 오래전에 잊은 이의 눈썹 - 허수경 [2] 2011.03.15 1815 146
1050 선풍기 - 조정 [1] 2005.01.25 1807 178
1049 민들레 - 이윤학 2001.06.13 1804 285
1048 제기동 블루스·1 - 강연호 [2] 2001.04.10 1801 283
1047 사랑에 대한 짤막한 질문 - 최금진 2001.12.03 1795 207
1046 첫사랑 - 진은영 [2] 2001.09.11 1795 190
1045 아직은 꽃 피울 때 - 하정임 2004.08.19 1792 197
1044 못은 밤에 조금씩 깊어진다 - 김경주 [1] 2006.08.17 1791 196
1043 겨울 모스크바 편지 - 김성대 [1] 2011.02.11 1790 128
1042 벽 - 유문호 [1] 2006.04.25 1786 219
1041 가방, 혹은 여자 - 마경덕 [2] 2005.12.10 1785 217
1040 안녕 - 박상순 [4] 2007.06.20 1784 139
1039 이 골목의 저 끝 - 정은기 2009.04.09 1782 123
1038 나무에게 묻다 - 천서봉 2001.06.11 1782 327
1037 어느 날 문득 - 김규린 2001.08.14 1779 232
1036 저물어가는 강마을에서 - 문태준 [1] 2005.05.06 1778 221
1035 감나무가 있는 집 - 김창균 [2] 2005.09.28 1775 222
1034 사랑 - 김상미 2003.08.14 1774 161
1033 살아야 한다는 근사한 이유 - 여림 [1] 2003.11.24 1772 204
1032 흙의 건축 1 - 이향지 2015.05.11 177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