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성내동 옷수선집 유리문 안쪽 - 신용목

2002.04.12 11:52

윤성택 조회 수:1142 추천:181

성내동 옷수선집 유리문 안쪽/ 신용목 /『작가세계』 2000년 가을호
                                  

           성내동 옷수선집 유리문 안쪽



           잉어의 등뼈처럼 휘어진
           골목에선 햇살도 휜다 세월도 곱추가 되어
           멀리 가기 어려웠기에
           함석 담장 사이 낮은 유리
           문을 단 바느질집이 앉아 있다
           지구의 기울기가 햇살을 감고 떨어지는 저녁
           간혹 아가씨들이 먼발치로
           바라볼 때도 있었으나
           유리 뒤의 어둠에 비춰 하얀
           얼굴을 인화했을 뿐 모두가
           종잇장이 되어 오르는 골목에서는
           누구도 유리문 안을 궁금해하지 않았다
           어쩌다 새로 산 바짓단에
           다리를 세우기 위해 오래된
           동화책 표지 같은 문고리를 당기면
           늙은 아내는 없고
           실밥을 뱉어내는 사내가 양서류의 눈으로
           잠시 마중할 뿐 엄지와 검지로
           길이를 말하면 못 들은 척
           아가미를 벌렁거릴 뿐 이내
           사람의 바늘코에 입질을 단련시키기 위해
           드르르르 말줄임표 같은 박음질을 한다
           재봉틀 위에 놓은 두 개의 지느러미에서
           꼿꼿하게 가늘어진 바늘
           갈퀴를 확인하며
           나오는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유리문 안엔 물결이 있다
           부력을 가진 실밥이 떠다니고
           실밥을 먹고 사는 잉어가 숨어 있다
           누구든 그 안에 들어서기 위해서는
           삶의 각질을 벗어들고
           물고기처럼 휘어져야 한다 때로 바람에
           신문지가 날아와 두드린다
           해도 그 문은 열리지 않는다 자주 세월을 들이면
           잉어의 비늘이 마를 것이므로
           틀니를 꽉 다물고 버티는 유리가 있다
           젖은 바지를 찾아오는 날에는
           부레에 잠겨 있던 강물소리가 들리기도 했다
           추억을 건조시키지 않으려는 듯
           헐은 날개를 기워주는
           휘어진 골목 옆에는 바느질집이 있다
           성내동 사람들은 모두
           종이처럼 얇아져 있었으므로
           아무도 유리문 안을 들여다보지 않았지만
           어항 속에 형광등이 휘어지듯이
           그 앞을 지날 때마다
           휘어지는 걸음을 어쩌지 못한다



[감상]
이 시를 읽다보면 시인의 치열함이 느껴집니다. 동네 골목 어귀 어디든 있음직한 수선집을 어항으로 비유하는 것에서부터 예사롭지 않는 힘이 보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좋은 시는 인식의 전환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 시의 경우는 틀 자체부터가 새로우므로 그 참신함에 이끌려 끝까지 읽게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시들은 생명력도 질겨 어둠에 접혀진 서가 어디에서라도 제 힘으로 갈피를 벌려 빛을 받아냅니다. 그리고 페이지를 접어 표시하게 끔 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71 되돌아가는 시간 - 전남진 2003.06.17 1145 166
270 무덤 - 안명옥 2002.03.19 1145 205
269 고백 - 남진우 2009.11.27 1144 131
268 복덕방 노인 - 조영석 2005.03.22 1144 188
267 가문비냉장고 - 김중일 2002.01.08 1144 203
266 담배꽁초 - 송정호 [1] 2003.10.30 1143 171
» 성내동 옷수선집 유리문 안쪽 - 신용목 2002.04.12 1142 181
264 단검처럼 스며드는 저녁 햇살 - 이덕규 2003.11.06 1140 161
263 하늘 민박 - 김수복 2003.05.07 1140 166
262 뒤통수- 장승리 2002.09.23 1140 208
261 구름 편력 - 천서봉 [1] 2011.02.01 1139 128
260 나타샤를 추억함 - 김진하 2003.12.09 1139 207
259 폐타이어가 있는 산책길 - 최영숙 2002.02.19 1138 188
258 쓰리 아웃 체인지 - 황병승 2003.09.08 1135 185
257 밀물여인숙 2 - 최갑수 2002.07.23 1135 181
256 오이도 - 임영조 [2] 2003.06.04 1133 168
255 수도관은 한겨울에만 꽃을 피우고 - 심재상 2002.02.21 1133 215
254 벽제행 - 허연 [4] 2002.01.18 1133 186
253 미싱 - 이혜진 2004.07.12 1132 160
252 고속도로가 내려다보이는 집 - 이창수 2004.04.16 113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