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섬 - 최금진

2002.09.30 14:29

윤성택 조회 수:1554 추천:219

섬/ 최금진/ 2002년『시와반시』 여름호




        



        섬이 헝클어진 하늘을 머리까지 말아 올려
        몇 개의 핀처럼 저녁별을 꽂는다
        여자는 산신당 옆 밭둑에 앉아
        검은 가죽잠바를 뒤집어쓰고
        제 발톱인 줄도 모르고 뜯어먹는 흑염소들을 보며
        까르르 웃는다 남편이 남기고 간
        작은 머리통에 다 담을 수 없는 운명을 뿔에 달고
        쿡쿡 소나무를 치받는 염소들은
        똥도 소심하게 까맣다
        아까부터 같은 자리만 도는
        작은 어선들 뒤로 물길은 생겼다간 금세 지워지고
        물 위의 길, 걸어서는 가 닿을 수 없는
        일몰이 구덩이처럼 깊어질 때
        섬의 아랫도리에선
        뭉클뭉클 속살을 만지며 갯내음이 기어올라온다
        여자는 있는 힘껏 돌을 집어 던진다
        어둠의 수위는 그만큼 차 오른다 하나, 둘
        산신당 촛대에 없는 이들의 얼굴이 켜지고
        언덕을 내려가는 염소들의 수염 끝에서 수평선이 지워진다
        흰 뼛조각처럼 바다 위에 널린 부표들은
        절대 가라앉지 않는다
        어딘가에 스스로 매여 있는 것을 모르는
        매에에, 매에에, 염소들은
        여자의 헐렁한 옷자락을 씹어먹는다 그것이
        한번 담겨졌다가 오래도록 꺼내진 적 없는 몸의
        낡은 포대 자루인 것을 모르고


[감상]
어디서 한번쯤은 보았음직한 실성한 여자, 그리고 섬과 염소와 어우러진 풍경들은 한 문장 한 문장 단단한 비유의 힘으로 묶여져 있습니다. 여자의 내력은 이 시의 깊이만큼이나 관조적입니다. 미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었을까요. 이제 제 몸을 염소에게 내어주며 같은 자리에 맴도는 여자, 자꾸만 어디서 한 번쯤 보았던 사람 같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11 옛사랑, 서울역 광장에서 - 이성목 2003.11.18 1212 168
310 오래 앉았던 언덕 버리고 - 장혜승 [1] 2003.10.13 1409 168
309 낡은 사진첩을 보다가 - 권영준 2003.06.27 1111 168
308 오이도 - 임영조 [2] 2003.06.04 1133 168
307 4월의 꽃 - 신달자 2003.04.25 1155 168
306 그들의 봄밤 - 김수우 [1] 2003.03.07 1153 168
305 빗방울 화석 - 배한봉 2003.01.07 956 168
304 꽃 피는 공중전화 - 김경주 2003.01.04 1183 168
303 물고기에게 배우다 - 맹문재 2002.11.16 1020 168
302 찰나의 화석 - 윤병무 [1] 2002.11.13 1070 168
301 고양이 울음 - 도종환 2007.03.14 1337 167
300 동백꽃 화인 - 정재록 2007.01.29 1242 167
299 들풀 - 이종욱 [2] 2004.04.26 1421 167
298 웅덩이 - 이정록 2004.02.02 1268 167
297 문은 안에서 잠근다 - 김행숙 2003.11.14 1215 167
296 비 오는 날 사당동에서 총알택시를 타다 - 정 겸 2003.11.03 1044 167
295 깨진 유리 - 안주철 2003.10.29 1287 167
294 산란 - 정용기 2003.08.01 962 167
293 나무의 손끝 - 신원철 2003.05.23 1011 167
292 산딸나무 - 고현정 2003.04.28 1049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