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광릉 뻐꾸기 - 배홍배

2003.07.15 10:38

윤성택 조회 수:1019 추천:198

「광릉 뻐꾸기」 / 배홍배 / 『현대시』2003년 7월호


        광릉 뻐꾸기


        광릉 숲에 뻐꾸기가 운다
        슬프게도 운다
        뱁새가 품고 있는 알 하나가 꼼질한다
        그들은 지금 교신 중
        재개발 아파트 같은 원시림은
        집단 무의식처럼 침묵한다

        젊은 뻐꾸기들이여
        안테나를 높이 세우고 태아가 부여받을
        고통의 새 주소를 찾는구나
        입주 딱지 같은 낙엽 한 장이 전부인
        쓰러져 가는 고목 안에서
        너희 조상이 물려 준 삶의 암호를
        양심의 깃털이 돋기 전
        연약한 잔등에서 피가 나도록
        견디어 낼 거라면
        내 벌거숭이 몸뚱이를 내어주마
        밟고 오르라
        내 온 몸이 털로 덮이고
        귓속에서 검은 뿔이 숭숭 자라
        저 울음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아픔은 나의 것이 아니니



[감상]
뻐꾸기의 생태에 대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 있습니다. 뻐꾸기는 알을 다른 새의 둥지에 낳습니다. 그리고 알에서 부화한 새끼는 둥지 안의 가짜 어미의 알과 새끼를 등에 얹고서 둥지 밖으로 떨어뜨립니다. 그리고는 자기가 그 둥지를 독차지합니다. 이 시는 그러한 습성을 '조상이 물려 준 삶의 암호'로 풀어내며, 더 나아가 뻐꾸기처럼 살고 있는 우리시대의 누군가에게 '밟고 오르라'라는 강한 목소리를 등장시킵니다. 이렇듯 뻐꾸기의 삶을 코드화시킨 악마적 요소가 어떻게 생겨났을까 궁금하게 만드는 시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11 빗소리 - 김영미 2005.05.11 2006 218
1110 낙타 - 김충규 [1] 2001.04.04 2000 288
1109 꽃 꿈 - 이덕규 [1] 2005.07.27 1996 222
1108 부재중 - 김경주 [3] 2005.06.24 1991 196
1107 돌아가는 길 - 문정희 2005.11.09 1990 208
1106 겨울 저녁의 시 - 박주택 2005.11.12 1983 220
1105 희망에게 - 유영금 2007.02.12 1982 214
1104 바람의 목회 - 천서봉 [4] 2005.12.01 1979 227
1103 방황하는 피 - 강기원 [1] 2011.03.09 1978 127
1102 사랑한다는 것 - 안도현 2001.07.02 1972 274
1101 떫은 생 - 윤석정 [2] 2006.02.17 1967 232
1100 미치겠네 - 함성호 [2] 2005.07.26 1962 215
1099 이별 - 안성호 [2] 2006.10.23 1960 224
1098 가을비 - 신용목 [1] 2007.08.11 1959 138
1097 누가 사는 것일까 - 김경미 2005.08.16 1954 203
1096 구부러진 길 저쪽 - 배용제 [1] 2001.04.06 1939 296
1095 그 거리 - 이승원 2006.01.12 1938 235
1094 취미생활 - 김원경 [1] 2006.03.24 1928 247
1093 밤비 - 한용국 2006.08.22 1925 205
1092 모자 - 고경숙 2005.08.10 1923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