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광릉 뻐꾸기 - 배홍배

2003.07.15 10:38

윤성택 조회 수:1019 추천:198

「광릉 뻐꾸기」 / 배홍배 / 『현대시』2003년 7월호


        광릉 뻐꾸기


        광릉 숲에 뻐꾸기가 운다
        슬프게도 운다
        뱁새가 품고 있는 알 하나가 꼼질한다
        그들은 지금 교신 중
        재개발 아파트 같은 원시림은
        집단 무의식처럼 침묵한다

        젊은 뻐꾸기들이여
        안테나를 높이 세우고 태아가 부여받을
        고통의 새 주소를 찾는구나
        입주 딱지 같은 낙엽 한 장이 전부인
        쓰러져 가는 고목 안에서
        너희 조상이 물려 준 삶의 암호를
        양심의 깃털이 돋기 전
        연약한 잔등에서 피가 나도록
        견디어 낼 거라면
        내 벌거숭이 몸뚱이를 내어주마
        밟고 오르라
        내 온 몸이 털로 덮이고
        귓속에서 검은 뿔이 숭숭 자라
        저 울음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아픔은 나의 것이 아니니



[감상]
뻐꾸기의 생태에 대해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 있습니다. 뻐꾸기는 알을 다른 새의 둥지에 낳습니다. 그리고 알에서 부화한 새끼는 둥지 안의 가짜 어미의 알과 새끼를 등에 얹고서 둥지 밖으로 떨어뜨립니다. 그리고는 자기가 그 둥지를 독차지합니다. 이 시는 그러한 습성을 '조상이 물려 준 삶의 암호'로 풀어내며, 더 나아가 뻐꾸기처럼 살고 있는 우리시대의 누군가에게 '밟고 오르라'라는 강한 목소리를 등장시킵니다. 이렇듯 뻐꾸기의 삶을 코드화시킨 악마적 요소가 어떻게 생겨났을까 궁금하게 만드는 시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11 싹 - 김지혜 2005.12.27 2666 266
1110 기린 - 구광본 2001.05.14 1373 266
1109 부서진 활주로 - 이하석 2001.05.12 1287 266
1108 저수지 - 김충규 [1] 2001.05.10 1371 266
1107 Y를 위하여 - 최승자 2001.08.10 1704 265
1106 풀잎 다방 미스 조 - 정일근 2001.06.27 1416 265
1105 몽대항 폐선 - 김영남 2006.06.08 1380 264
1104 날아라 풍선 - 마경덕 2005.07.30 2170 264
1103 퍼즐 - 홍연옥 [1] 2004.03.02 1733 264
1102 방생 - 이갑수 2001.06.05 1214 264
1101 무인 통신 - 김행숙 2001.08.08 1425 262
1100 만월 - 정지완 2001.05.26 1319 262
1099 가물거리는 그 흰빛 - 이근일 2006.06.05 1654 261
1098 편지에게 쓴다 - 최승철 2001.05.22 1612 261
1097 버려진 식탁 - 이윤학 2001.05.11 1375 261
1096 후문 - 김병호 2006.06.01 1558 259
1095 가을날 - 이응준 2002.09.26 3601 259
1094 사랑니 - 고두현 [1] 2001.07.11 1842 258
1093 그 날 - 이성복 2001.05.30 1625 257
1092 섬 - 조영민 [6] 2001.08.07 2047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