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마지막 봄날에 대한 변명 - 이영옥

2004.02.12 14:46

윤성택 조회 수:1488 추천:189



「마지막 봄날에 대한 변명」 / 이영옥/ 2002년 경남일보 신춘 당선작



        마지막 봄날에 대한 변명

        
        낯익은 집들이 서 있던 자리에
        새로운 길이 뚫리고, 누군가 가꾸어 둔
        열무밭의 어린 풋것들만
        까치발을 들고 봄볕을 쬐고 있다
        지붕은 두터운 먼지를 눌러 쓰고
        지붕아래 사는 사람들은
        이제 서로의 안부조차 묻지 않았다
        떠난 자들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이유를 알고있는
        오래된 우물만 스스로 제 수위를 줄여 나갔다
        붉은 페인트로 철거 날짜가 적힌
        금간 담벼락으로 메마른 슬픔이 타고 오르면
        기억의 일부가 빠져 나가버린 이 골목에는
        먼지 앉은 저녁 햇살이 낮게 지나간다
        넓혀진 길의 폭만큼
        삶의 자리를 양보해 주었지만
        포크레인은 무르익기 시작한 봄을
        몇 시간만에 잘게 부수어 버렸다
        지붕 위에 혼자 남아있던 검은 얼굴의 폐타이어가
        돌아오지 못할 시간들을 공연히 헛 돌리고
        타워 크레인에 걸려있던 햇살이
        누구의 집이었던
        쓸쓸한 마당 한 귀퉁이에 툭 떨어지면
        윗채가 뜯긴 자리에
        무성한 푸성귀처럼 어둠이 자라나고
        등뒤에서는 해가 지는지
        신도시에 서있는
        건물 유리창의 눈시울이 붉어지고 있었다



[감상]
이 시는 사물에 대한 감정이입이 잘 이뤄진 시입니다. 생명이 없는 것들에게 제각기 움직임과 생각을 불어넣고 도시화 되어가는 변두리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줍니다. 마지막일지도 모를 봄을 맞고 있는 풍경들이 쓸쓸한 문양으로 남습니다. 곧 철거가 이뤄지면 그것들은 어디로 사라져갈까. 또 영영 이별해야 하는 것들이 주위에 얼마나 많을까요.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71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 최갑수 2004.02.14 1697 219
» 마지막 봄날에 대한 변명 - 이영옥 2004.02.12 1488 189
569 홀로코스트 - 배용제 [2] 2004.02.10 1275 195
568 독서2 - 이동호 [2] 2004.02.09 1319 191
567 한밤중의 택시 운전사 - 서동욱 [1] 2004.02.06 1204 212
566 나는 파이프다 - 오자성 [16] 2004.02.05 1426 185
565 무릎에 심은 나무 - 정재학 [1] 2004.02.03 1294 194
564 웅덩이 - 이정록 2004.02.02 1322 167
563 모월모일 - 박제영 [1] 2004.01.30 1300 184
562 저수지 속으로 난 길 - 천수호 2004.01.28 1224 189
561 달의 다리 - 천수이 [1] 2004.01.26 1170 175
560 고등어 파는 사내 - 손순미 [1] 2004.01.20 1189 187
559 캣츠 - 전기철 [1] 2004.01.19 1133 182
558 폭설 - 장인수 [2] 2004.01.17 1328 183
557 연어의 나이테 - 복효근 2004.01.16 1281 173
556 목공소 - 고경숙 [1] 2004.01.15 1062 184
555 상처가 부르는 사람 - 길상호 [1] 2004.01.14 1284 175
554 검은 비닐 봉지들의 도시 - 문성해 [3] 2004.01.13 1305 179
553 홍예 - 위선환 2004.01.12 1131 223
552 안온한 쓸쓸함에 대하여 - 정주연 2004.01.10 1313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