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배달수씨에게 섭외된 편지들은 어디로 갔나>/ 유미애 / 《현대시학》 2004년 10월호


        배달수씨에게 섭외된 편지들은 어디로 갔나
                - 거미

        화야산 계곡에서 캐온 야생난 목이 붓는다
        우편물을 실은 자전거가 61번지 비탈을 오른다
        스물, 서른 지나 명치끝이 아릴 때면
        수많은 경계와 이면도로, 샛길의 뿌리가 궁금했다
        불안한 청춘은 배달되는 편지마다 붉은 줄을 그었다
        오독의 시절이 이어졌다

        생을 읽어내지 못한 눈에 곁눈이 튀어 올랐다
        제 길을 가지 못한 다리에 센털이 돋았다
        
        우편낭에 실린 구근들, 간지러운 발바닥을 움질댄다
        손상된 꿈은 어디로 이식된 것일까
        
        집 한 채가 전부인 동네, 구름이 둘러싸고 있다
        테 줄*을 풀어 제 몸을 격리시켜 온 주인은
        나선형의 길 어디에도 답신을 넣지 않았다
        팔랑팔랑 61번지로 날아간 편지들은 사라졌다

        화야산 빙벽에 침을 놓던 달수씨 그 사람
        어느 빈집 우편함에 번개를 치는지
        머리맡의 야생난 꽃이 터진다

        편지요!
        옥탑방 쇠문을 밀고 집왕거미 한 마리가 입을 벌린다


*테줄 : 거미가 줄을 칠 때 먼지 치는 줄

[감상]
거미와 편지, 야생난, 옥탑방으로 이어지는 소재들의 유기적인 흐름을 눈여겨봅니다. 산동네 옥탑방에 사는 배달수씨의 거미화 하는 솜씨가 현실적인 정황과 맞물려 뛰어난 묘사로 직조되고요. 시 안에서 야생난의 역할 또한 '빈집 우편함에 번개를 치는지/ 머리맡의 야생난 꽃이 터진다'의 시선도 예사롭지 않군요. 전체적인 윤곽이 잘 짜여져 치밀함이 느껴지는 시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911 오래된 약 - 백인덕 2003.08.26 1075 166
910 자전거포 노인 - 최을원 2003.09.03 1013 166
909 뒤통수 - 하종오 2004.02.21 1157 166
» 배달수씨에게 섭외된 편지들은 어디로 갔나 - 유미애 2004.10.04 1194 166
907 어둠 - 이상국 2007.03.17 1332 166
906 게를 잡다 - 권지숙 [1] file 2007.05.29 1239 166
905 구관조 - 전정아 2007.05.31 1092 166
904 며느리밥풀꽃 - 이향지 2002.04.11 1283 167
903 바람부는 저녁에는 나도 함석지붕처럼 흐르고 싶다 - 신지혜 2002.04.17 1230 167
902 공사장엔 동백나무 숲 - 임 슬 [1] 2002.11.07 1008 167
901 목수의 노래 - 임영조 2002.12.06 949 167
900 산딸나무 - 고현정 2003.04.28 1049 167
899 나무의 손끝 - 신원철 2003.05.23 1011 167
898 산란 - 정용기 2003.08.01 962 167
897 깨진 유리 - 안주철 2003.10.29 1287 167
896 비 오는 날 사당동에서 총알택시를 타다 - 정 겸 2003.11.03 1044 167
895 문은 안에서 잠근다 - 김행숙 2003.11.14 1215 167
894 웅덩이 - 이정록 2004.02.02 1268 167
893 들풀 - 이종욱 [2] 2004.04.26 1421 167
892 동백꽃 화인 - 정재록 2007.01.29 1242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