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슬픈 두 귀 - 박후기

2004.11.08 17:42

윤성택 조회 수:1106 추천:170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슬픈 두 귀」 / 박후기/ 《작가세계》2004년 겨울호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슬픈 두 귀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뭉개진 귀를 보면,
        굳은 살 하나 박히지 않은
        말간 내 두 손바닥이 부끄러워진다
        높은 곳을 향해 뻗어가는 벽 위의 덩굴손처럼
        내 손은 지상의 흙 한번 제대로 움켜쥔 일 없이
        스쳐 지나가는 헛된 바람만 부여잡았으니,
        꼬리 잘린 한 마리 도마뱀처럼
        바닥을 짚고 이리저리 필사적으로 기어 다니는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비애를
        나는 알지 못한다

        고단한 생의 매트 위에서
        데굴데굴 구르는 머리에 깔려 뭉개져버린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슬픈 두 귀를 보면,
        멀쩡한 두 귀를 달고도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평형감각 없이 흔들리는
        내 어리석은 마음이 측은하고
        내 것 아닌 절망에 귀 기울여 본 적 없는
        잘 생긴 내 두 귀가 서글퍼진다

        삶은 쉴 새 없이 태클을 걸어오고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몸은 둥근 통나무 같아
        쓰러지고 구르는 것이 그의 이력이지만,
        지구(地球)를 끌어안듯
        그는 온몸 바닥에 밀착시키며
        두 팔 벌려 몸의 중심을 잡는다

        들린 몸의 검은 눈동자는
        수준기(水準器) 유리관 속
        알코올과 섞인 둥근 기포처럼
        수평을 잡기 위해 이리저리 굴러다니고,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두 귀는
        세월의 문짝에 매달려 거친 바람 소리를 듣는,
        닫힌 내일의 문을 두드리는 마음의 문고리다


[감상]
시에 있어 ‘발견’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보여주는 시입니다. 남들이 보지 못한 것을 보는 눈이야말로 시인되기의 첫단추일 것입니다. 레슬링 선수는 팔과 다리 힘뿐 아니라 머리를 이용해서 옆으로 굴리거나 뒤집기도 합니다. 혹은 팔 다리가 붙잡힌 채 머리 하나로 중심을 버티기도 합니다. 그 고된 훈련과 실전으로 말미암아 레슬링 선수의 두 귀는 서서히 변형되었을 것입니다. 이러한 아마추어 선수의 귀의 비애를 시인은 연민과 성찰의 시선으로 포착해냅니다. 제목에서부터 뿜어져 나오는 ‘시적’인 것이 강렬한 시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11 정비공장 장미꽃 - 엄재국 2004.11.01 1076 183
510 도배를 하다가 - 문신 2004.11.02 1221 181
509 뗏목 - 조은영 2004.11.04 1238 179
508 정류장 - 안시아 2004.11.06 1623 194
»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슬픈 두 귀 - 박후기 2004.11.08 1106 170
506 눈 내리니 덕석을 생각함 - 박흥식 [3] 2004.11.09 1124 164
505 방바닥에 떨어진 머리칼 - 박형준 2004.11.12 1187 177
504 선명한 유령 - 조영석 2004.11.15 1086 165
503 달팽이 - 전다형 [1] 2004.11.16 1544 172
502 나무는 지도를 그린다 - 송주성 [4] 2004.11.17 1420 183
501 심장의 타종 - 박판식 2004.11.19 1299 176
500 누가 우는가 - 나희덕 [1] 2004.11.23 1609 173
499 울릉도 - 도혜숙 [1] 2004.11.25 1271 177
498 흔적 1 - 황상순 [7] 2004.11.27 1544 207
497 그 저녁 - 김다비 [1] 2004.11.29 1511 217
496 voyant - 김춘수 [1] 2004.11.30 1196 192
495 거친 나무상자 - 안주철 [1] 2004.12.01 1186 177
494 콩나물국, 끓이기 - 이동호 2004.12.03 1399 202
493 오조준 - 이정화 [1] 2004.12.06 1065 203
492 막돌, 허튼 층 - 이운룡 2004.12.07 1049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