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막돌, 허튼 층 - 이운룡

2004.12.07 17:34

윤성택 조회 수:1081 추천:202

「막돌, 허튼 층」/ 이운룡/ 《시와사람》2004년 겨울호 (1969년《현대문학》으로 등단)

        
        막돌, 허튼 층

        돌은 피를 말린 생각의 파편이다
        막돌을 쌓은 허튼 층 층층이 빈틈을 헤쳐보면
        과부하의 하늘이 무너져 깊이 박혀 있다

        돌과 한 살 곶이 되어
        코뿔소처럼 야만의 뿔을 쳐들고 너희들을 노린다
        길을 내면 무너져
        와글와글 어금니 가는 소리 시끄럽다

        아이적 발목 걸어 눈물 뺀 돌
        욕을 팔매질하여 눈에 핏발 뭉쳐진 돌
        가슴속 피 멍울 한 생애 굴려온 돌
        
        돌은 제 뿌리를 뽑아서
        아랫것 짓누르고
        아랫것 위에 올라타 또 아랫것들 짓밟고
        층위 맨 꼭대기에 눌러앉아
        에헴!
        하늘이고 싶은 놈,
        이름하여 막돌 허튼 층 쌓은 악명의

        삶이 막돌이다, 넘치는 돌무더기
        뿌리가 위로 뻗어 올라 언제나 목이 마르다
        그래, 돌은
        틈마다 상처를 끼워 넣는다

        한때는 성(城)이었던 함성도 오래되면
        파랗게 이끼 돋을 허튼 층 막돌은.

[감상]
쓸모없이 아무렇게나 생긴 돌 막돌, 그것에 부여한 치열한 성격과 의미가 감동을 이끕니다. 첫 문장이 그러하듯 직관을 지켜내는 힘은 진정 묘사의 공력입니다. 무너져 생긴 막돌은 언젠가 올려다보았던 하늘에 성겼을 것이고, 그 곳을 밟기라도 하면 ‘어금니 가는 소리’가 들릴 법도 합니다. 우리네 삶이 그러하듯 막돌처럼 산다는 건 상처에 반응하고 그곳에 던져지겠다는 저돌적인 ‘살아냄’입니다. 한낮 막돌에서 우리 인생을 반추하고, 그곳에서 ‘생각의 파편’을 읽어내는 연륜이 놀랍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711 2005신춘문예 당선작 모음 [8] 2005.01.03 2328 229
710 궤도를 이탈한 겨울, 밤 - 유문호 [1] 2004.12.29 1364 206
709 너무 작은 처녀들 - 황병승 [1] 2004.12.27 1381 210
708 성당부근 - 정 린 2004.12.24 1209 190
707 고려장 2 - 정병근 2004.12.23 1133 197
706 언젠가는 - 조은 2004.12.22 1717 194
705 가구의 꿈 - 조덕자 [1] 2004.12.21 1226 204
704 쓸쓸한 중심 - 이화은 [2] 2004.12.16 1588 179
703 여인숙에서 보낸 한철 - 김경주 [8] 2004.12.13 1518 185
702 그 이발소, 그 풍경 - 고경숙 2004.12.10 1310 215
701 불 꺼진 지하도 - 강신애 2004.12.08 1189 191
» 막돌, 허튼 층 - 이운룡 2004.12.07 1081 202
699 오조준 - 이정화 [1] 2004.12.06 1093 203
698 콩나물국, 끓이기 - 이동호 2004.12.03 1424 202
697 거친 나무상자 - 안주철 [1] 2004.12.01 1211 177
696 voyant - 김춘수 [1] 2004.11.30 1231 192
695 그 저녁 - 김다비 [1] 2004.11.29 1535 217
694 흔적 1 - 황상순 [7] 2004.11.27 1575 207
693 울릉도 - 도혜숙 [1] 2004.11.25 1303 177
692 누가 우는가 - 나희덕 [1] 2004.11.23 1642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