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거품인간 - 김언

2005.05.18 14:41

윤성택 조회 수:1626 추천:235

<거품인간> / 김언 / 《창작과비평》2005년 여름호


  거품인간
                                
  그는 괴롭게 서 있다. 그는 과장하면서 성장한다.  한나절의 공포가
그를 밀고할 것이다. 한나절이 아니라 한나절을 버틴 공포 때문에 그
는 잘게 부수어진다.  거품과 그의 친구들이 모두 다른 이름이다.  그
것은 목적을 가지지 않는다. 공포 때문에.

  한 번에 일곱 가지 표정을  짓고 웃는다.  그의 눈과 입과 항문과 성
기가 모조리 분비물에 시달린다. 한 명이라도 더 흘러 나오려고 발버
둥을 치는 것이다. 정오에.

  가장 두려운 한낮에 소란을 베껴가며 폭죽은 터진다.  밤하늘의 섬
광이 여기서는 외롭다.  표면까지 왔다가 그대로 튕겨나가는 소음들.  
밖에서는 시끄럽고 안에서도 잠잠한 소란을 또 한 사람이 듣고 있다.
그는 전혀 다른 공간이다. 그는 괴롭게 서 있다.

  공기가 그를 껴안을 것이다.

[감상]
한낮 공원 벤치에서 아이가 부는 비누거품놀이. 이 한가하고 여유로운 풍경이 이 시에서는 인간의 괴로움과 공포로 재탄생됩니다. 천천히 부풀어오는 비누거품은 때로는 터지기도 하고, 때로는 막대 끝에서 날아올라 공중에 떠다니겠지요. 여기서 공포란 언제 터질지 모르는 두려움 같은 것이겠다 싶습니다. 그 비눗방울에게 시인은 의식과 고뇌를 부여합니다. 그리하여 비눗물 속 ‘더 흘러 나오려고 발버둥을 치는’ 또 다른 ‘그’를 발견합니다. 거품의 뚜렷한 안과 밖은 선악(善惡)처럼 전혀 다른 공간이므로 이것을 공존시키는 그는, 괴롭게 서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거품을 부는 아이의 의지가 우주의 어떤 질서였다면, 탄생과 소멸 앞에 우리는 여전히 거품인간일 수밖에 없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951 귀명창 - 장석주 2008.01.25 1124 136
950 寄生現實(기생현실) - 김중 2002.07.04 1126 215
949 낮달 - 이영식 2002.04.08 1127 189
948 순금 - 정진규 [1] 2002.05.06 1127 177
947 욕을 하고 싶다 - 주용일 2003.06.20 1128 176
946 태양의 계보 - 홍일표 2007.11.05 1129 116
945 뜬 눈 - 김연숙 2004.01.07 1130 201
944 고속도로가 내려다보이는 집 - 이창수 2004.04.16 1130 171
943 공갈빵이 먹고 싶다 - 이영식 2002.12.09 1131 198
942 후박나무가 있는 저녁 - 이영식 2003.07.29 1131 220
941 20세기 응접실 - 윤성학 2007.06.05 1131 155
940 미싱 - 이혜진 2004.07.12 1132 160
939 수도관은 한겨울에만 꽃을 피우고 - 심재상 2002.02.21 1133 215
938 오이도 - 임영조 [2] 2003.06.04 1133 168
937 벽제행 - 허연 [4] 2002.01.18 1134 186
936 상계동 비둘기 - 김기택 2005.02.23 1134 163
935 밀물여인숙 2 - 최갑수 2002.07.23 1135 181
934 쓰리 아웃 체인지 - 황병승 2003.09.08 1135 185
933 폐타이어가 있는 산책길 - 최영숙 2002.02.19 1138 188
932 나타샤를 추억함 - 김진하 2003.12.09 1139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