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이 전대미문의(신생아실에서) - 이경림

2005.10.22 13:45

윤성택 조회 수:1192 추천:184

《상자들》 / 이경림/ 《문예중앙시인선》(근간)


        이 전대미문(前代未聞)의(신생아실에서)
                        - 상자들

        그가 어디서 어떻게 왔는지
        얼마나 험한 길을 얼마나 오래 걸어왔는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피투성이 주름투성이의 몸으로 조막만한 인류가
        지금 막 도착해 울음을 터뜨렸다고 말할 수 있을 뿐

        울음을 그친 그는
        아련한 눈빛으로 형광등 불빛을 보다가
        창 쪽을 보다가
        희고 높다란 벽을 보다가
        흰 옷에 흰 투구를 쓴 직립의 괴짐승들을 보고는 그만
        무슨 입맛 돋우는 먹을거리라고 생각했는지
        라일락빛 입술을 씰룩거리며 이리저리
        혀를 내두르다가
        문득

        단풍잎 같은 손을 들어
        가만가만
        가까운 허공을 긁어보는 것이었는데


[감상]
<전대미문>이란 매우 놀라운 일이나 새로운 것을 두고 이르는 말입니다. 이 시는 <신생아>를 그 어떤 독립된 지적 생명체로 비유해, 마치 외계인의 등장처럼 형상화시킵니다. 일상적으로 여겨왔던 생명 탄생이 충격적인 사건이 되는 것이지요. 그 낯섦의 시선으로 태아는 <피투성이 주름투성이의 몸>이 되고, 간호사는 <흰 옷에 흰 투구 쓴 직립의 괴짐승들>이 됩니다. 신생아를 세밀하게 포착, <그>의 호기심으로 표현한 3연이 강렬한 인상으로 남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71 바다에 누워 - 정한용 2002.04.22 1194 179
370 지하역 - 이기와 2001.12.04 1194 208
» 이 전대미문의(신생아실에서) - 이경림 [1] 2005.10.22 1192 184
368 저, 모래씨앗 - 김수우 2004.06.18 1192 177
367 방안에 핀 동백 - 홍은택 2005.03.07 1190 177
366 수선화 - 이재훈 2002.10.22 1190 205
365 성에꽃 - 최두석 2002.01.22 1190 174
364 겨울의 이마 - 하정임 2009.12.18 1189 127
363 오해 - 이장욱 [1] 2003.08.21 1189 178
362 대숲 - 김영석 2006.12.23 1187 163
361 방바닥에 떨어진 머리칼 - 박형준 2004.11.12 1187 177
360 편지, 여관, 그리고 한 평생 - 심재휘 2002.05.31 1187 178
359 귀향 - 박청호 2002.02.20 1187 195
358 거친 나무상자 - 안주철 [1] 2004.12.01 1186 177
357 목공소에서 - 마경덕 2003.11.05 1186 194
356 냇물이 풀릴 때 - 박옥순 2002.10.01 1186 209
355 목내이 - 김자흔 2005.01.13 1185 168
354 신의 카오스이론 - 김연숙 [4] 2004.06.14 1185 193
353 어머니 날 낳으시고 - 정일근 2003.09.01 1185 153
352 수전증 - 박홍점 [1] 2007.01.24 1184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