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이발소 그림 - 최치언

2006.01.18 16:36

윤성택 조회 수:1632 추천:236

《설탕은 모든 것을 치료할 수 있다》 / 최치언/  문예중앙 시인선


        이발소 그림

        항구는 제 발바닥을 개처럼 핥고 있다 그곳에서
        사내는 청춘의 한때를 비워냈다

        높다란 마스트에 올라 바다가 밀려오고 나가는 날들을
        트랜지스터 라디오에 주파수로 고정했다

        깊고 질퍽한 검은 장화의 날들이었다 아낙네의 치마는 바람에
        돛을 키웠다

        한가한 골목마다 벌거벗은 아이들이 고무다라 속에
        들어앉아 헤엄을 쳤다

        용궁다방 찻잔들이 배달되고 사내는 더운 잔을 후룩 들이켰다
        제 손금의 마지막 잔금을 탈탈 털어 마셨다
        귓전에서 거대한 파도가 부서졌다

        비탈진 둔덕에
        염소를 키우고 밤새 비린 생선의 배를 따며
        둔치의 허연 가시 속에서 파랑주의보를 지도처럼 펼쳐들고
        그날 죽었던 친구와 영원히 이곳을 떠난 여자에게
        양양전도한 뱃길을 열어주고 싶었다

        아무도 전도하지 못한
        부두의 교회당 목사는 방파제 끝에서 다시 돌아오고 있었다 그 뒤로 허옇게
        뒤집어진 눈깔로 바다는 맑은 하늘 아래서 제 몸의 상처를
        꿰매고 있었다

        오늘도 사내는 마스트에 오른다 용서받지 못할
        꿈을 꾸는 머리는 항상 다리를 따라가기 마련이다고
        배의 선수가 선미 쪽으로 뱅뱅 돌고 있었다 그 모든 것들이 이곳에서는
        주검처럼 평화로웠다


[감상]
이발소에 걸려 있는 그림은 서민역사 한 부분으로서의 상징입니다. 그곳에 걸려 있다는 그 자체가 단순히 유치한 저가 그림이라기보다는, 서민 정서와 의식이 담긴 생활미술인 셈이지요. 이 시는 바닷가 어촌마을을 이발소그림처럼 하나 하나 시 속에 그려 넣습니다. 문장에 등장하는 인물은 이내 풍경과 섞이고, 그 풍경의 실체는 비틀린 비유로 어우러집니다. <주검처럼 평화로웠다>라는 무료함이, 마치 시가 액자에 들어앉은 것 같은 느낌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951 내 안의 붉은 암실 - 김점용 2002.05.30 1111 193
950 편지, 여관, 그리고 한 평생 - 심재휘 2002.05.31 1187 178
949 영자야 6, 수족관 낙지 - 이기와 2002.06.03 1007 182
948 해마다 - 윤이나 2002.06.04 1198 213
947 이별여행 - 손현숙 2002.06.05 1247 211
946 카니발의 아침 - 박진성 2002.06.07 1165 219
945 비닐하우스 - 조말선 2002.06.10 1165 210
944 소들은 울지 않는다, 웃는다 - 최금진 2002.06.11 1259 200
943 몰입 - 고영민 2002.06.12 1216 216
942 전봇대와 고양이의 마을 - 김언 2002.06.14 1225 224
941 너 아직 거기 있어? - 김충규 2002.06.15 1336 221
940 그리움의 거리 - 조재영 2002.06.17 1350 201
939 이장 - 한승태 2002.06.18 1094 226
938 꽃나무와 남자 - 조정인 2002.06.19 1167 198
937 망설임, 그 푸른 역 - 김왕노 2002.06.20 1153 174
936 상가(喪家)에 모인 구두들 - 유홍준 2002.06.24 1020 162
935 강풍(强風)에 비 - 김영승 2002.06.25 1063 171
934 다대포 일몰 - 최영철 2002.06.26 1007 180
933 지금은 꽃피는 중 - 류외향 2002.06.27 1246 179
932 일몰 - 홍길성 2002.06.28 1156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