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빙어 - 주병율

2006.03.21 10:07

윤성택 조회 수:1612 추천:218

<빙어> / 주병율/  《시작》 시인선, 《시향》 2006년 봄호 中


        빙어

        달밤이었다.
        화톳불이 타고 있었다.
        겨울 무덤 주위에선 가랑잎 한 장도 흔들리지 않았다.
        나무들이 어둠 속에서 검게 숯이 되고
        세상의 모든 시간들이 당나귀처럼 어둔 산맥을 넘어갔다.
        얼음이 벤 돌들이 오래도록 강물 속에서 흐느껴 울었다.
        어디선가 쩔렁거리며 자꾸만 요령소리가 들렸다.
        사람 하나 없이 저문 산맥을 넘어 시간은 모두 어디로 가고 있었다.
        아직 한 번도 가닿지 못했던 시간의 뼈
        그 냉기의 뼈를 바르며 빙어들이 눈을 뜨고 있었다.
        그들은 여름내 건너지 못한 언 강물을 거스르며
        자신들의 생애에 대해, 시간에 대해, 죽음에 대해 골똘해져 있었다.
        더는 외롭지 않을 방법에 대해 생각하고 한 방울의 눈물로 밤을 지새기도 했다.
        세상 어디서나 꽃은 피고 꽃은 졌다.
        달밤이었다.
        강물 속에선 자꾸만 요령소리가 들렸다.
        바람은 아무데도 보이지 않는데 한 무더기의 억새가 흔들리고 있었다.*
        가는 빙어의 옆구리가 물살에 흔들릴 때마다
        달빛은 얼음 속에서 하얗게 깊어갔다.


* 김춘수 「뭉크의 두 폭의 그림」중에서

[감상]
달빛이 은은한 언 강물 속에서 수없이 자맥질하는 뜬 눈의 빙어들, 그 풍경에 데려다주는 이 시를 읽고 있노라면 어느새 지리산 어느 강가에 와 있는 것만 같습니다. 귀와 눈을 트이게 하는 얼음에 베인 돌들이 내는 강물소리, 냉기의 뼈 같은 빙어… 가보지 못한 곳일지라도 상상이 먼저 감각해 냅니다. 특히 <세상의 모든 시간들이 당나귀처럼 어둔 산맥을 넘어갔다>라는 살아 있는 서정에 흠뻑 반하게 되는군요. <달밤>과 <요령소리>의 매혹적인 반복도 눈여겨 볼만한 부분이겠고요. 달빛뿐만 아니라 마음까지 깊어지는 시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931 나타샤를 추억함 - 김진하 2003.12.09 1139 207
930 뒤통수- 장승리 2002.09.23 1140 208
929 하늘 민박 - 김수복 2003.05.07 1140 166
928 단검처럼 스며드는 저녁 햇살 - 이덕규 2003.11.06 1140 161
927 성내동 옷수선집 유리문 안쪽 - 신용목 2002.04.12 1142 181
926 담배꽁초 - 송정호 [1] 2003.10.30 1143 171
925 가문비냉장고 - 김중일 2002.01.08 1144 203
924 복덕방 노인 - 조영석 2005.03.22 1144 188
923 고백 - 남진우 2009.11.27 1144 131
922 무덤 - 안명옥 2002.03.19 1145 205
921 되돌아가는 시간 - 전남진 2003.06.17 1145 166
920 네 어깨 너머, - 김충규 2010.01.18 1145 121
919 시간들의 종말 - 김윤배 2001.11.28 1146 202
918 베티와 나(영화 37도 2부) - 박정대 2002.07.24 1146 202
917 무의지의 수련, 부풀었다 - 김이듬 2007.01.19 1146 143
916 분리수거 - 유춘희 2002.04.23 1147 177
915 비렁뱅이 하느님 - 정우영 2004.03.16 1147 221
914 나는 오래 전에도 여기 있었다 - 임동확 2003.06.19 1148 172
913 마른 아구 - 김 경 2002.01.02 1149 213
912 넘버나인에서의 하룻밤 - 심재휘 2007.11.26 1149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