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몽대항 폐선 - 김영남

2006.06.08 17:22

윤성택 조회 수:1380 추천:264

《푸른 밤의 여로》 / 김영남/ 《문학과지성사》시인선


        몽대항 폐선

        저기 졸고 있는 개펄의 폐선 한 척이
        앞에 서 있는 여자 한 명을, 아니
        그 옆의 친구들까지를
        그립게 했다가 외롭게 했다가 한다.
        그렇게 밀고 당기는 속성이
        그 폐선 위에도 살고 있는 것인지
        갈매기가 몇 마리 뜨니 더욱 그런다.

        난 예 풍경을 눈에 꼭 담고 상상한다.
        폐선이란
        낡아 저무는 모습이 아니라
        저물어선 안 될 걸
        환기시키는 어떤 힘이라는 것을.
        그런 힘이 밀물처럼
        주변을 끌어당겼다 놓았다 할 때
        그게 진짜 아름다운 폐선이란 것을.
        나도 언젠가는 저처럼
        누굴 그립게 끌어당겼다 놓았다 하는
        몽대항 폐선이 되리란 꿈을 꾼다.


[감상]
충남 태안의 몽산포 옆에 몽대항이 있습니다. 긴 방파제 너머 갯벌과 햇살이 인상적이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시를 읽다보니 그 풍경 한 가운데 주저 없이 들어서는 서정의 힘이 느껴집니다. 싱싱한 감정의 날것을 그대로 보여줌으로서 순수함이 돋보인다고 할까요. <그립게 했다가 외롭게 했다가> 폐선은 그 자체로 아득한 추억의 시원(始原)이 됩니다. 버려지고 소외된 폐선이야말로 몽대항을 있게 한 아름다운 징표이기 때문입니다. 행과 행 사이 삶을 전면으로 끌어낸 뚝심 좋은 진정성이 갈매기를 그리는 시인의 눈매와 겹쳐집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11 로맨티스트 - 하재연 2009.11.17 928 108
1110 빈 손의 기억 - 강인한 2009.11.14 927 115
1109 해바라기 - 신현정 2009.11.13 999 118
1108 가랑잎 다방 - 황학주 2009.11.11 1032 133
1107 흩어진다 - 조현석 2009.11.10 929 139
1106 숲 - 이기선 2009.11.09 945 112
1105 사랑의 물리학 - 박후기 [1] 2009.11.05 938 105
1104 차가운 해가 뜨거운 발을 굴릴 때 - 허수경 2009.11.04 917 116
1103 아코디언 연주자 - 김윤선 2009.05.18 1588 124
1102 아무도 오지 않는 오후 - 고영 [2] 2009.05.07 2076 117
1101 그리운 상처 - 양현근 [1] 2009.04.23 2106 119
1100 검은 혀 - 김산옥 2009.04.21 1456 123
1099 요긴한 가방 - 천수호 2009.04.15 1473 120
1098 이 골목의 저 끝 - 정은기 2009.04.09 1782 123
1097 3월 - 최준 2009.04.01 1244 126
1096 촛불 - 류인서 2009.03.23 1464 110
1095 소각장 근처 - 장성혜 2009.03.18 1047 110
1094 본인은 죽었으므로 우편물을 받을 수 없습니다 - 김기택 2009.03.13 1231 108
1093 장미 - 박설희 2009.03.09 1737 98
1092 바닷가 저녁빛 - 박형준 2009.03.03 1317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