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회전문 - 이수익

2006.12.11 16:39

윤성택 조회 수:1445 추천:228


<회전문>/ 이수익/ 《시인시각》 2006년 겨울호


        회전문

        대형 빌딩 입구 회전문 속으로
        사람들이 팔랑팔랑 접혀 들어간다
        문은 수납기처럼 쉽게
        후루룩 사람들을 삼켜버리고
        들어간 사람들은 향유고래의 입 안으로 빨려 들어간
        물고기 떼처럼 금방 잊혀진다
        금방 잊혀지는 것이 그들의 존재라면
        언젠가는 도로 토해지는 것은 그들의 운명,
        그들은 잘 삭은 음식 찌꺼기 같은 풀린 표정으로
        별빛이 돋아나는 시간이나, 또는 그 이전이라도 회전문 바깥으로
        밀려난다
        그렇다니까, 그것은 향유고래의 의지 때문이 아니라
        빨려들어간 물고기 떼의 선택 때문이지
        오로지 그들 탓이라니까
        그러나 대형 빌딩은 이런 무거운 생각과는 멀리 떨어져
        하루종일 팔랑팔랑 회전문을 돌리면서
        미끄러운 시간 위에서 유쾌하게 저의 포식을 노래한다
        룰루랄라 룰루랄라 룰룰루……

        지금은 회전문의 움직임이 완고하게 멈춘
        시간, 대형 빌딩은 수직의 화강암 비석처럼 깜깜하게
        하늘에 떠 있다
        낮에 삼켰던 사람들의 머리에서 쏟아져 나온 생각과
        말들, 일거수일투족의 그림자, 그들의 홍채와 지문까지
        다시 기억을 재생하고 판독하고 복사하고 지우면서
        대형 빌딩은 눈을 감고도 잠들지 않는다
        회전문은 묶여 있어도, 그렇다고 쉬는 것도 아니다


[감상]
대형 빌딩의 육중하고 거대한 몸을 <향유고래>에 비유한 것이 인식의 전환점입니다. 이렇듯 대상을 다른 시각으로 들여다보면 그 대상의 소소한 것들도 새로운 의미로 부각됩니다. 대형 빌딩 속에서 이뤄지고 있는 업무들, 그 거대한 자본주의적 습성이 <유쾌하게 저의 포식>이 되는 것입니다. 깊은 밤이 되어도 팩스와 이메일에는 지구의 어딘가와 끊임없이 교신하며 정보가 쌓이고, 사람들보다 먼저 <기억을 재생하고 판독하고 복사하고 지우>기를 반복하겠지요. <미끄러운 시간>을 유유히 유영하며 이 거대한 대형 빌딩 <향유고래>는 내일로 내일로 쉬지 않고 저어갑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11 누와르론(論) - 박수서 2003.08.07 955 149
1010 빨간 우편함 - 김규린 2011.04.05 2065 149
1009 마음의 서랍 - 강연호 2002.05.24 1408 150
1008 바람소리를 듣다 - 장만호 2003.02.10 1180 150
1007 꽃멀미 - 이문재 2003.04.29 1214 150
1006 봄날의 산책 - 박순희 [2] 2007.01.27 1705 150
1005 사과를 깎으며 - 김나영 2003.05.26 1029 151
1004 수도승 - 홍일표 2007.01.16 1258 151
1003 안드로메다를 등에 지다 - 김산 2007.03.03 1327 151
1002 비의 뜨개질 - 길상호 [1] 2007.03.07 1423 151
1001 누가 내건 것일까 - 장목단 2003.04.22 1019 152
1000 어머니 날 낳으시고 - 정일근 2003.09.01 1185 153
999 상상동물 이야기·5 - 권혁웅 2003.03.28 942 154
998 구멍에 들다 - 길상호 2003.06.10 1092 154
997 민달팽이들 - 문성해 2007.03.23 1330 154
996 늙은 정미소 앞을 지나며 - 안도현 2003.04.21 978 155
995 석모도 민박집 - 안시아 2003.05.21 1022 155
994 신발 - 최두석 2003.07.03 1282 155
993 녹의 힘 - 김봉식 2007.03.20 1208 155
992 버스 정류장 - 이미자 2007.04.26 1672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