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산수유 아래서 징소리를 - 김길나

2007.06.16 14:16

윤성택 조회 수:1195 추천:157

<산수유 아래서 징소리를> / 김길나 (1995년 시집『새벽날개』로 등단) / 《다층》 2007년 여름호


        산수유 아래서 징소리를

        그녀의 맨발을 만져보고 싶었으나
        그녀는 일찍이 땅 속으로 내려갔다
        그녀가 묻힌 흙에서 빠끔히 떡잎이 눈 뜨고
        떡잎에 숨은 길 한 가닥이 불쑥 일어나
        줄기는 허공을 주욱 찢어 올리고
        가지들은 또 낭창낭창 허공을 건드리고
        허(虛)를 찔린 허공이 여기저기서 째지고
        째진 공(空)의 틈새에서 얼굴 하나씩이 피어나고
        이렇게 수많은 그녀가 그녀의 맨발에서 솟아났다

        파르르 떨리는 허공의 틈새마다에서
        울려나오는 저 소리는 번쩍이는 징소리
        그리고 연달아 징을 치는 쟁쟁한 해 뭉치
        공을 트고 나온 얼굴들을 푸르게 두들겨 펴는.


[감상]
이 시는 시각을 청각화 하는 직관이 탁월합니다. 태양에서부터 꽃에게도 도달하는 햇볕의 파장을 <징을 치는 쟁쟁한 해 뭉치>로 발견한 부분이 단연 돋보입니다. 어떤 구성진 가락이 있었기에 산수유가 잎보다 먼저 저리 노란 꽃이 흐드러졌을까. 햇볕이 카메라에 번졌을 때 나타나는 둥근 모양의 테가 <징>이었겠구나, 대낮의 햇볕으로 저리 징을 두들겨 그 진동으로 꽃이 열리는구나 싶어집니다. 눈으로 본 것이 귀로 들리는, 시인의 감각에 추임새를 넣고 싶어졌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991 종이호랑이 - 박지웅 2006.04.10 1658 226
990 밀실의 역사 - 권혁웅 2005.10.13 1448 226
989 푸른 방 - 문성해 2005.10.01 2209 226
988 나쁜 피 - 이영주 2005.09.02 1476 226
987 탐구생활 - 박후기 [1] 2005.08.24 1531 226
986 가을, 도서관에서 - 남궁명 [2] 2004.10.14 1609 226
985 그곳에도 달빛이 닿았습니다 - 최재목 [2] 2004.06.02 1709 226
984 철봉은 힘이 세다 - 박후기 [7] 2004.03.17 1446 226
983 고래는 울지 않는다 - 마경덕 [1] 2004.02.20 1609 226
982 이장 - 한승태 2002.06.18 1094 226
981 점안식 하는 날 - 최명란 [1] 2006.11.28 1151 225
980 불법체류자들 - 박후기 [1] 2006.10.30 1669 225
979 감자를 캐며 - 송은숙 2006.10.16 1700 225
978 뺨 - 함순례 [2] 2006.07.25 1854 225
977 공중부양 - 박강우 2004.04.12 1087 225
976 옹이 - 이수정 2003.12.03 1249 225
975 달팽이가 지나간 길은 축축하다 - 박성우 2002.09.27 1269 225
974 이별 - 안성호 [2] 2006.10.23 1961 224
973 겨울 그림자 - 임동윤 [2] 2005.12.07 2070 224
972 월남 이발관 - 안시아 2005.11.17 1459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