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야생사과 - 나희덕

2009.11.23 18:14

윤성택 조회 수:1070 추천:124

  《야생사과》 / 나희덕 (1989년 《중앙일보》로 등단) / 《창비시인선》301

          야생사과

        어떤 영혼들과 얘기를 나누었다
        붉은 절벽에서 스며나온 듯한 그들과
        
        목소리는 바람결 같았고
        우리는 나란히 앉아 지는 해를 바라보았다

        흘러가는 구름과 풀을 뜯고 있는 말,
        모든 그림자가 유난히 길고 선명한 저녁이었다

        그들은 붉은 절벽으로 돌아가며
        곁에 선 나무에서 야생사과를 따주었다

        새가 쪼아먹은 자리마다
        개미들이 오글거리며 단물을 빨고 있었다

        나는 개미들을 훑어내고 한입 베어물었다
        달고 시고 쓰디쓴 야생사과를

        그들이 사라진 수평선,
        내 등 뒤에서 있는 내가 보였다

        바람소리를 들었을 뿐인데
        그들이 건네준 야생사과를 베어물었을 뿐인데

        
[감상]
TV 어느 프로에선가 10년을 기다려 얻은 '기적의 사과'를 보았습니다. 농약이나 비료를 주지 않고 잡초 또한 뽑지 않고 농사를 지었더니 사과에 병이 들어도 스스로 치유하고, 수확 후에도 잘 썩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시는 이러한 야생(野生)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어떤 영혼들’은 우리가 태어나기 이전부터 존재해온 자연에 대한 상징일 것입니다. 그러나 땅이 가진 본연의 힘을 외면해온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존재들입니다. 야생사과를 ‘개미들을 훑어내고 한입 베어’ 무는 건, 인공이나 인조, 인위의 것들로부터 벗어난 자연과의 융화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내 등 뒤에서 있는’ 나는, 낯설지만 실은 나의 생성의 근원이 아닐까 싶습니다. 시인은 자신의 어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그들의 어머니와 아버지의 유전자를 수없이 거슬러 어느 저녁, 야생사과를 따고 있는 ‘나’를 보았을 것입니다. 그 실체의 선명한 그림자가 ‘내’가 되어 드리워지는 것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91 강가의 묘석 - 김병호 2006.01.23 1592 255
1090 오늘 당신을 만난 데자뷰 - 박선경 2006.01.11 1824 255
1089 파도 - 김영산 2005.09.01 2240 255
1088 나는 시간을 만든다 - 박상순 2001.07.31 1439 255
1087 반성 16 - 김영승 2001.05.29 1315 255
1086 목수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 유용주 2001.05.09 1260 255
1085 공터의 행복 - 권정일 [2] 2006.01.19 2085 254
1084 오래된 마루는 나이테가 없다 - 차주일 [1] 2005.09.29 2314 254
1083 울고 있는 아이 - 배용제 2001.08.03 1496 254
1082 유리꽃 - 이인철 2006.04.03 2589 253
1081 백제탑 가는 길 - 신현림 2001.05.03 1330 252
1080 해바라기 - 조은영 [1] 2005.11.01 3023 251
1079 날 저문 골목 - 안숭범 2006.04.07 1613 250
1078 사랑은 - 이승희 2006.02.21 2977 250
1077 흔적 - 배영옥 [2] 2005.11.16 2277 250
1076 고백 - 정병근 [1] 2005.08.17 2712 250
1075 聖 - 황학주 2001.10.18 1310 250
1074 마포 산동네 - 이재무 2001.05.08 1695 250
1073 책들 - 강해림 2006.07.07 1882 249
1072 별 - 김완하 2002.08.12 2923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