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내 그림자 - 김형미

2011.01.14 10:42

윤성택 조회 수:1014 추천:84


《산 밖의 산으로 가는 길》/  김형미 (2000년 『진주신문』, 『전북일보』 신춘문예, 2003년 『문학사상』으로 등단) / 《문학의전당》 시인선 90

          내 그림자

        내 그림자는 검은 물이다
        귀신인지 사람인지 아무런 냄새도 없다
        아주 오래 산 가물치 같기도 하고,
        내 심연 깊은 곳에 내가 그린 난 같기도 하다
        아무 말 않고 있어도 나는 내 그림자에게서
        검은 물의 소리를 듣는다
        크고 작은 별들을
        가슴에 보듬어 안고 있는 검은 하늘물
        천둥과 번개를 몸속에 지닌 그 물은
        세상일을 다 아는 가물치처럼 그윽해 보이기도 하고,
        화선지 위를 스치며 지나가는 난처럼
        고단하지만 길고 가는 숨을 여백으로 두고 있다
        다치지 않고 형형한 느낌을 주는 눈을 가진
        내 그림자가 고요하게 나를 바라보면,
        내 눈 속에도 하늘물이 고인다
        그러면 나는 또 내 쓸쓸하고 고독한 그림자를 본다
        땅 위에 드리워진 검은 하늘물 그림자
        그리고 귀신인지 사람인지 아무런 냄새도 없이
        나도 내 그림자가 되어간다
        

[감상]
한 사람의 음영인 그림자는 종종 그 사람의 영혼과 비교되기도 합니다. 또 이러한 모티프에는 대체로 한 개인 속에 내재되는 열망과 상반된 경향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 시는 자신의 그림자가 ‘검은 물’이라는 확정에서부터 삶의 깊이에 대한 응시로 동일화해 갑니다. 물의 순환처럼 먹구름이 비가 되고 그 비가 땅에 스미고 하는 일련의 과정이 삶과 죽음을 무한히 반복하는 것이라면, 존재한 내가 ‘귀신인지 사람인지’도 모를 일입니다. 예부터 영물인 가물치의 등장은 어쩌면 이 모든 것을 바라보는 관조적인 대상이 필요해서 였을 것입니다. ‘나도 내 그림자가 되어간다’라는 마지막은, 生의 집착에서 일순 멀어져가는 나를 깨닫는 과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1 빗방울 화석 - 배한봉 2003.01.07 956 168
50 누와르론(論) - 박수서 2003.08.07 955 149
49 푸르른 소멸·40 [즐거운 놀이] - 박제영 [1] 2002.11.14 955 172
48 붉은 염전 - 김평엽 2009.12.10 954 131
47 뻘 - 유지소 2002.12.13 954 161
46 로컬 버스 - 김소연 2010.01.19 952 113
45 무너진 다리 - 송재학 2003.01.02 950 170
44 황실대중사우나 - 전윤호 2002.12.10 950 191
43 자폐, 고요하고 고요한 - 최을원 2009.12.15 949 129
42 1월의 폭설 - 홍신선 2003.02.06 949 182
41 목수의 노래 - 임영조 2002.12.06 949 167
40 수궁에서 놀다 - 박진성 2003.02.11 947 162
39 엘리스와 콩나무 - 김참 2002.12.17 946 169
38 숲 - 이기선 2009.11.09 945 112
37 상상동물 이야기·5 - 권혁웅 2003.03.28 942 154
36 빙점 - 하린 2011.01.15 941 81
35 연리지 - 박소원 [1] 2011.01.07 941 112
34 경비원 박씨는 바다를 순찰중 - 강순 2003.04.30 939 160
33 사랑의 물리학 - 박후기 [1] 2009.11.05 938 105
32 죽음의 강습소 - 박서영 2003.01.09 937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