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하늘 위에 떠 있는 DJ에게 - 이영주

2011.03.03 13:10

윤성택 조회 수:1353 추천:137


《언니에게》/  이영주 (2000년 『문학동네』로 등단) / 《민음의 시》165

          하늘 위에 떠 있는 DJ에게

        새들이 멈추었을 때 서른이 되었다. 모든 풍경을 떼 내 나에게 엽서를 썼다.

        잔뜩 취한 서른의 내가 맞추지 못한 문의 구멍을 스무 살의 내가 맞춰 주는 순간. 첫날밤의 이불처럼 벽들이 하얗게 펄럭거렸다.

        저 하늘 위에 떠 있는 DJ를 보라. 그는 탈색되는 걸 사랑했고 몰래 잠드는 것도 좋아했다.

        부엉이 문신은 부드러운 네 왼쪽 가슴을 향해 날았다.

        검은 음표들은 전부 취해 있다. DJ는 환자가 누운 곳에서만 턴테이블을 돌렸다.
        
        세상의 모든 창문은 음표의 방향이 되었다.

        첫날밤은 귀가 먼 병원 의자에서 가장 고결한 사랑을 배운 DJ에게.


[감상]
자유롭고 꿈이 있었던 시절을 ‘새들’이었다고 비유해도 되겠습니다. 이제 생활이 생활을 지켜야하는 각박한 서른이 되어서야 비로소 나에게 엽서를 쓰듯 돌아보게 됩니다. 꿈 많았던 스무 살의 생각이 지금 현실의 무력함을 벗어나게 할 때, 문득 첫사랑이라든가 설레임이라든가 떠오르게 됩니다. 한때 음악다방의 ‘DJ’는 신청곡과 그 사연을 들려주는 근사한 목소리의 상징이었습니다. 그만큼 그는 화자의 ‘첫’에 입김으로 서려 있습니다. 필경 그 상황이 ‘귀가 먼 병원 의자’ 였을지라도, 가만히 음악을 들려주었던 그의 턴테이블만은 아직도 가슴 속에서 돌고 있는 것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71 문 열어주는 사람 - 유홍준 [1] 2005.04.25 1756 186
170 빨간 모자를 쓴 사내 - 문신 [1] 2005.10.28 1756 207
169 소나기 - 전남진 2002.05.16 1757 188
168 트렁크 - 김언희 2001.04.11 1758 332
167 아카시아 - 박순희 2001.06.14 1758 313
166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 장석남 [1] 2001.04.28 1759 321
165 혀 - 장옥관 2010.02.12 1759 147
164 피할 수 없는 길 - 심보선 [1] 2011.02.14 1760 134
163 빗소리 듣는 동안 - 안도현 2001.08.13 1763 235
162 가을이 주머니에서 - 박유라 [1] 2005.11.25 1763 218
161 정지한 낮 - 박상수 2006.04.05 1763 238
160 흙의 건축 1 - 이향지 2015.05.11 1770 0
159 살아야 한다는 근사한 이유 - 여림 [1] 2003.11.24 1772 204
158 사랑 - 김상미 2003.08.14 1774 161
157 감나무가 있는 집 - 김창균 [2] 2005.09.28 1775 222
156 저물어가는 강마을에서 - 문태준 [1] 2005.05.06 1778 221
155 어느 날 문득 - 김규린 2001.08.14 1779 232
154 나무에게 묻다 - 천서봉 2001.06.11 1782 327
153 이 골목의 저 끝 - 정은기 2009.04.09 1782 123
152 안녕 - 박상순 [4] 2007.06.20 1784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