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타인이라는 도시

2013.08.22 09:58

윤성택 조회 수:344

수반(隨伴), 사랑의 정체성은 더한 그 미래를 아련히 계측하는 데 있다. 가보지 못한 날까지 가서 평생 겪는 긴장을 약속해 보는 것이다. 우리의 가능성이 도시를 만들고 그안 수많은 타인을 살게 한다. 누구를 알아간다는 건 하나의 도시로 접어드는 게 아닐까. 나 아닌 다른 어떤 사회가 편입되는 느낌. 길을 잃고 아직도 노숙으로 그곳을 떠나지 못하는 그가, 지하도 구석에 가방을 베고 누워 있다. 생이 비참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마지막으로 정착한 곳이 이 도시이기 때문이다. 인생을 여행하려 한다면 타인이라는 도시를 각오해야 한다. 이역(異域), 쓸쓸히 죽어가는 사랑이 그 어딘가에서.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94 7cm 눈 file 2013.12.16 768
93 충혈 file 2013.12.11 899
92 한 사람 file 2013.12.10 685
91 눈이 온다는 건 2013.12.04 2692
90 안부 file 2013.11.26 1801
89 그대 생각 file 2013.10.25 569
88 가을 file 2013.10.17 1857
87 一泊 2013.10.10 514
86 2013.09.25 334
85 드라마 2013.09.23 289
84 대리 2013.09.13 311
83 2013.09.10 314
82 몸이 생각을 앓고 나면 2013.09.05 426
81 감도 2013.08.31 307
80 우울 2013.08.29 280
79 기도 2013.08.28 360
78 기로 2013.08.26 317
77 건널목 2013.08.22 322
» 타인이라는 도시 2013.08.22 344
75 순수 2013.08.19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