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신발만 담아 주세요

2025.05.07 14:44

윤성택 조회 수:9

.

신발은 걸음에 닳는 것이 아니다. 그저 걸음을 기억할 뿐이다. 딛는 면에서 닳아 사라지는 쪽과 닳도록 걷는 쪽 사이로, 나는 밀려가는 중이다. 신발은 생활이 그대로 찍힌 일종의 지문인지도 모르겠다. 그 닳은 면이 삶의 비문이라고.

 

걷고, 때로는 달려서 닳은 신발 뒤축을 현관에 앉아 자꾸 들여다보게 된다. 신발을 바꿔야 하지 않을까. 닳는다는 건 나를 돌아보는 일이지만, 신발이 이제 나를 벗어나도 되겠다는 마모 앞에서는 더 이상 부정하지 못한다. 그게 생각보다 홀가분해서 스스로 계면쩍어지기도.

 

에스컬레이터를 오르다 보면, 앞사람의 신발 뒤축에 눈이 갈 때가 있다. 그 사람이 닳아온 여정을. 무게를 받아낸 면이 삶을 견뎌왔던 거라고. 안쪽으로 꽤 닳아 허름한 채로 걷는 그를, 나는 맨발로 뒤를 좇는 것 같아서.

 

신발은 몸의 편애를 그대로 드러낸다. 삶의 기울기를 견뎌냈던 수많은 날들. 신발이나 나나 낯섦을 견디는 시간이었을 테니. 이렇게 함께 닳아가고 있다는 위안. 문득, 적응하거나 타협하지 못한 것이 오히려 불안했던 건 아니었는지.

 

조명이 환한 매장, 누군가처럼 의자에서 새 신발을 신어본다. 뒤꿈치까지 밀어 넣고 발가락을 몇 번 꼼지락거리다가 흘깃 보게 된다. 옆에 벗어놓은 초라하게 낡은, 신어 온 신발. 차마 버릴 수는 없는 거여서 오늘은,

 

네가 나를 어디든 데려다주렴.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 신발만 담아 주세요 2025.05.07 9
158 새로 산 청바지 2025.04.30 21
157 봄과 여름 사이 2025.04.23 28
156 하늘이 파래서 2025.04.16 25
155 마음에도 관세가 있을까 2025.04.09 31
154 지브리풍으로 산다는 것 2025.04.02 34
153 산불 2025.03.26 25
152 2025.03.19 29
151 전철에서 졸다 눈을 떴을 때 2025.03.12 35
150 삶은 듦인가 2025.03.05 34
149 머리를 길러 뒤로 묶고 나서부터 2025.02.19 44
148 내리는 눈에 눈이 호강하여 오후가 누려진다 2025.02.12 38
147 패딩을 입고 미끄러지기 쉬운 2월 2025.02.06 38
146 일주일 사이 제법 선선하여 2024.09.26 111
145 신호등에 걸려 서 있다 보면 2024.03.13 167
144 글이 읽으러 기회를 만난다 2024.02.22 75
143 인생이 통속으로 취했거늘 2024.02.01 100
142 영화로운 2024.01.26 74
141 보랏지다 2023.12.28 81
140 냉장고 2023.09.07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