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20세기 응접실 - 윤성학

2007.06.05 17:59

윤성택 조회 수:1129 추천:155

<20세기 응접실> / 윤성학 (2002년 『문화일보』로 등단) / 《문장웹진》 2007년 6월호


  20세기 응접실

  다시 상해 임시정부 청사에 갔을 때 무어라 명찰을 달아주기 어려운 슬픔 같은 것들이 또 내 어깨를 짚었다 김 선생의 응접실 나무 의자를 만져보았다 저당을 설정하고 내 것을 내준 건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고 둘로 나뉘고 또 나뉘고 또 나뉜 것이 다시 극정을 띠며 나뉘는 것도 그대로였다 삿된 것들이 주류인 것도 변하지 않았다 선생과 다른 것이 있다면 나에게는 대한민국 여권과 단수비자가 있을 뿐이었다
  내 어깨를 짚고 선 것 그 얼굴을 찬찬히 뜯어보았다 상해, 임시, 정부…… 그의 가운데 이름을 들여다본다 그래서 떠돌았고 때를 알 수 없는 잠시라 슬프게 머물렀던 것인데 왜나는 책상에 격자를 그리는 간간한 햇빛 속에서 생의 모든 것이 임시라는 생각을 하는 것일까 내가 임시이므로 그리도 손에 잡히지 않아 가슴을 뜯게 만든 것들은 임시의 임시이고 이 마음은 임시의 임시의 임시인 것일까 임시를 기념하기 위해 임시의 것들로 영원을 기약하는 사람들 내가 돌아가 머물고 싶은 정부는 어디일까 3개월 단수비자 여럿이 카메라 앞에 서서 도시락 폭탄처럼 웃고 돌아간다


[감상]
1919년 3·1운동 직후 조국의 광복을 위해 중국 상해에 조직한 임시정부이지요. 그리고 8·15광복 때까지 국내외 독립운동을 통할하는 최고기관으로서 활동하였으나 국제간의 정부승인을 받지 못한 채 광복을 맞아 정부자격이 아닌 개인자격으로 쓸쓸히 돌아오게 됩니다. 이 시는 그런 역사적 배경을 분위기로 이미지를 이끌어갑니다. 하나의 나라와 독립을 원했던 그분들을 생각하자면, 호남과 영남이 갈리고 정당이 갈리는 요즘의 세태 앞에서 <슬픔 같은 것들이 또 내 어깨를 짚>는 것이겠지요. 이제는 <3개월 단수비자>로 갈 수밖에 없는 남의 나라 관광지의 낡은 건물을 돌아보며 진정 <임시>라는 단어를 되돌아보는 시인의 심경이 진솔하게 배어나옵니다. 또한 한낱 관광차원의 기념사진으로 생각하는 <여럿이> 틈에서 <도시락 폭탄>을 떠올리는 대목은 이 시의 여운을 더하게 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11 폐가 - 이동호 [1] 2006.06.16 1566 230
1010 틈 - 신용목 2005.08.02 1902 230
1009 해바라기 공장 - 이기인 [1] 2005.06.23 1715 230
1008 18세 - 박상수 2004.06.03 1590 230
1007 울고 있는 사내 - 장만호 2006.07.31 1879 229
1006 가문동 편지 - 정군칠 2006.02.02 1657 229
1005 나는 사유한다 비전을 접수한다 - 신지혜 [1] 2005.01.20 1393 229
1004 2005신춘문예 당선작 모음 [8] 2005.01.03 2299 229
1003 등뒤의 사랑 - 오인태 2004.03.19 1573 229
1002 단체사진 - 이성목 2002.08.09 1482 229
1001 회전문 - 이수익 2006.12.11 1445 228
1000 빛의 모퉁이에서 - 김소연 2006.02.15 2024 228
999 낙엽 - 이성목 [2] 2005.11.10 2520 228
998 텔레비전 - 서정학 2003.12.30 1290 228
997 1984년 - 김소연 2002.03.20 1243 228
996 초원의 재봉사 - 변삼학 2006.05.16 1445 227
995 바람의 목회 - 천서봉 [4] 2005.12.01 1978 227
994 옥상 - 정병근 [3] 2005.11.03 1847 227
993 희망에 부딪혀 죽다 - 길상호 2004.06.04 1735 227
992 흐르는 물에도 뿌리가 있다 - 김명인 2002.10.15 1359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