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20세기 응접실 - 윤성학

2007.06.05 17:59

윤성택 조회 수:1129 추천:155

<20세기 응접실> / 윤성학 (2002년 『문화일보』로 등단) / 《문장웹진》 2007년 6월호


  20세기 응접실

  다시 상해 임시정부 청사에 갔을 때 무어라 명찰을 달아주기 어려운 슬픔 같은 것들이 또 내 어깨를 짚었다 김 선생의 응접실 나무 의자를 만져보았다 저당을 설정하고 내 것을 내준 건 그때나 지금이나 마찬가지고 둘로 나뉘고 또 나뉘고 또 나뉜 것이 다시 극정을 띠며 나뉘는 것도 그대로였다 삿된 것들이 주류인 것도 변하지 않았다 선생과 다른 것이 있다면 나에게는 대한민국 여권과 단수비자가 있을 뿐이었다
  내 어깨를 짚고 선 것 그 얼굴을 찬찬히 뜯어보았다 상해, 임시, 정부…… 그의 가운데 이름을 들여다본다 그래서 떠돌았고 때를 알 수 없는 잠시라 슬프게 머물렀던 것인데 왜나는 책상에 격자를 그리는 간간한 햇빛 속에서 생의 모든 것이 임시라는 생각을 하는 것일까 내가 임시이므로 그리도 손에 잡히지 않아 가슴을 뜯게 만든 것들은 임시의 임시이고 이 마음은 임시의 임시의 임시인 것일까 임시를 기념하기 위해 임시의 것들로 영원을 기약하는 사람들 내가 돌아가 머물고 싶은 정부는 어디일까 3개월 단수비자 여럿이 카메라 앞에 서서 도시락 폭탄처럼 웃고 돌아간다


[감상]
1919년 3·1운동 직후 조국의 광복을 위해 중국 상해에 조직한 임시정부이지요. 그리고 8·15광복 때까지 국내외 독립운동을 통할하는 최고기관으로서 활동하였으나 국제간의 정부승인을 받지 못한 채 광복을 맞아 정부자격이 아닌 개인자격으로 쓸쓸히 돌아오게 됩니다. 이 시는 그런 역사적 배경을 분위기로 이미지를 이끌어갑니다. 하나의 나라와 독립을 원했던 그분들을 생각하자면, 호남과 영남이 갈리고 정당이 갈리는 요즘의 세태 앞에서 <슬픔 같은 것들이 또 내 어깨를 짚>는 것이겠지요. 이제는 <3개월 단수비자>로 갈 수밖에 없는 남의 나라 관광지의 낡은 건물을 돌아보며 진정 <임시>라는 단어를 되돌아보는 시인의 심경이 진솔하게 배어나옵니다. 또한 한낱 관광차원의 기념사진으로 생각하는 <여럿이> 틈에서 <도시락 폭탄>을 떠올리는 대목은 이 시의 여운을 더하게 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11 어도 여자 - 김윤배 2007.06.07 1083 138
1010 자유낙하운동 - 권주열 2003.12.20 1084 205
1009 음암에서 서쪽 - 박주택 2002.09.24 1086 240
1008 움직이는 정물 - 김길나 2003.09.26 1086 183
1007 선명한 유령 - 조영석 2004.11.15 1086 165
1006 참붕어가 헤엄치는 골목 - 김윤희 2003.01.29 1087 196
1005 공중부양 - 박강우 2004.04.12 1087 225
1004 연두의 시제 - 김경주 [1] 2009.12.02 1087 119
1003 브래지어를 풀고 - 김나영 2011.01.12 1087 78
1002 처용암에서 1 - 김재홍 2003.09.24 1088 195
1001 프랑켄슈타인 - 김순선 2004.06.17 1088 174
1000 론강의 별밤, 테오에게 - 박진성 2002.05.07 1089 190
999 비닐하우스 밤기차 - 이승주 2011.02.21 1089 116
998 골목의 캐비넷 - 정병근 2003.10.27 1090 192
997 시,시,비,비 - 김민정 2010.01.16 1090 116
996 그의 바다는 아직 살아 있다 - 박현주 2002.10.29 1092 180
995 모든 꽃은 흔들리며 뿌리로 간다 - 강미정 2003.02.03 1092 169
994 구멍에 들다 - 길상호 2003.06.10 1092 154
993 구관조 - 전정아 2007.05.31 1092 166
992 이장 - 한승태 2002.06.18 1094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