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이 밤이 새도록 박쥐 - 이윤설

2006.12.20 11:39

윤성택 조회 수:1736 추천:233

<이 밤이 새도록 박쥐>/ 이윤설/ 《시에》 2006년 가을호


        이 밤이 새도록 박쥐

        나야 네 곁을 오리처럼 뙤뚱뙤뚱 따라다니던 그래 나야
        불빛 한 점 날아와 부딪치는 다방 창가
        너는 턱 괴어 애인을 기다리지만
        베토벤 교향곡 음표들처럼 거꾸로 천장에 매달려
        네 크림빛 눈물이 나태하게 풀리는 동안
        퐁당 퐁퐁당 네 이마 위로 각설탕을 빠뜨리는, 그래 바로 나야
        
        네가 정중히 뒷문을 가리키며 꺼지라고 소리치던 나야 나
        네가 쓰레기라고 말했던 나야 나, 검게 탄 미소로 뒷걸음치다
        난 자동차에 치였을 뿐,
        신발이 구르고 어깨를 감싸던 검정 망토가 풀썩 덮쳤지
        삐뽀삐뽀 사거리 순서가 뒤얽혀
        신호등이 앵무새의 호동그란 눈을 치켜뜨고
        경광등을 켠 고양이들은
        거리로 몰려나왔지 딴 세상의 똘마니들이 도래한 거야

        힘들어 죽겠는 망토의 두 팔을 쫙 펼치자 때마침 바람이 폭풍이
        아하 비틀,
        할 줄 알았겠지만 나는 붕 날아올랐어
        해와 달이 쌍생아처럼 서로
        껴안고 나무들은 머리를 흔들며 비명을 지르고
        작고 순하지만 성질이 불 같은 집들이 바람의 살집 아래
        화들짝 눈을 떴어
        더러운 환풍구야 식당 뒷문이 흘리는 비웃음아
        굴욕을 토하는 골목들아 날 봐
        납작한 사거리 납작한 마을 납작한 산,
        접부채처럼 활짝 펼친
        날 좀 봐 주름이 좀 이뻐
        날아가는 내 날개 사이로 하늘이 다 비치고
        높이 솟다가 문득 내려앉는
        나야 나

        너는 애인을 기다리다
        한 점 불빛 날아와 부딪는 커피잔을 훌쩍 들이마셨을 때
        거꾸로 매달린
        나를 본 거야 맞아 나야
        너는 스푼을 내던지며 박쥐, 라고 소리 쳤어
        다방 목조계단을 쿵쾅쿵쾅 뛰어내려와
        문을 열었고, 순간 삐거덕거리는 계단의 무릎이 꺾이고
        놀란 네 몸이 와르르 무너졌지, 나야 그래 나야
        네가 쓰레기라고 말했던 그래

        이제는 달을 지우고 사라지는 지붕과 지붕 사이
        눈빛이 칼날같이 그려진 나야
        얼굴을 파묻고 검정 망토에 손깍지 끼면
        발밑이 떠오르고 두 팔 벌리어 바람의 양감을 느낄 수 있고
        조타수처럼 방향을 조종할 수도 있지
        날아가는 나를 알아보는 이는 없겠지만
        내 검은 그림자는 숲에서 죽은 새의 몸처럼 눈에 띄지 않는
        숨은 비밀이겠지만 갈대숲의 흔들리는 고뇌 속에
        내 눈물이 떨어진 걸 아무도 모를 테지만
        여전히 사랑을 원하는 삐진 표정이겠지만
        울먹이는 밤엔 창 열어 눈을 마주쳐 보아도 좋아
        밤의 책장이 저 혼자 덮히거나 부엌등이 파닥 튀거나
        알지 못할 천공의 울림이 가까이 다가오면
        나 잘 살고 있어, 네가 쓰레기라고 말했던 그래 나야

        지붕과 지붕 사이 붕 떠올라 달을 쿡 찌르고
        쿡, 쿡, 쿡, 웃어 죽겠는 나야 나
        눈빛이 칼날같이
        이제 나야 나  
                

[감상]
이 시가 긴 詩임도 불구하고 단숨에 읽게 하는 흡인력은 간결한 리듬과 빠른 전개 때문이지요. <나야 나>로 이어지는 화자는 <박쥐>의 목소리로 경쾌하지만 서늘하게 읽혀옵니다. <박쥐>의 생태와 비행방법 등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거기에서 행위를 엮어내는 치밀함이 돋보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시에 이면에 숨어 있는 소름 돋는 진의는 <빙의현상>을 암시하는 데 있습니다. <너는 애인을 기다리지만>에서 알 수 있듯 현재 <애인>은 부재중입니다. 대신 <박쥐>가 그 역할을 대신하듯 화자를 살피고 있는데, 어쩌면 <애인>은 <네가 정중히 뒷문을 가리키며 꺼지라고 소리치던> <네가 쓰레기라고 말했던> 당사자일지 모릅니다. 그 소릴 듣고 애인은 <뒷걸음치다> 자동차에 치이고 신발이 바닥에 나뒹굴었던 것인데, <너>는 그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사람이 죽고 육신을 잃은 혼백(영혼)이 갈 곳을 찾지 못하고 떠돌다가 적당한 매개체를 통해 영체가 깃들기도 합니다. 그런 곳은 대체로 흉가 등에 있게 마련인데 아마도 그곳에 있던 박쥐 한 마리에게 그 정신이 옮겨간 것은 아닌지요. 그리하여 애인이 박쥐로 돌아와 다방 위에서 그를 바라보며 이렇게 합니다. <나 잘 살고 있어>. <지붕과 지붕 사이 붕 떠올라 달을 쿡 찌르고/ 쿡, 쿡, 쿡, 웃어 죽겠는 나야 나/ 눈빛이 칼날같이/ 이제 나야 나>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31 정지한 낮 - 박상수 2006.04.05 1763 238
1030 가을이 주머니에서 - 박유라 [1] 2005.11.25 1763 218
1029 빗소리 듣는 동안 - 안도현 2001.08.13 1762 235
1028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 - 장석남 [1] 2001.04.28 1758 321
1027 소나기 - 전남진 2002.05.16 1757 188
1026 아카시아 - 박순희 2001.06.14 1757 313
1025 트렁크 - 김언희 2001.04.11 1757 332
1024 피할 수 없는 길 - 심보선 [1] 2011.02.14 1756 134
1023 혀 - 장옥관 2010.02.12 1756 147
1022 빨간 모자를 쓴 사내 - 문신 [1] 2005.10.28 1756 207
1021 문 열어주는 사람 - 유홍준 [1] 2005.04.25 1756 186
1020 육교 - 최을원 [4] 2004.02.28 1756 193
1019 삼십 대의 병력 - 이기선 [2] 2004.09.01 1753 182
1018 내가 내 안의 나인가 - 김정숙 [10] 2004.04.02 1750 200
1017 나귀처럼 - 김충규 2006.07.13 1749 236
1016 겨울나무 - 이기선 [1] 2008.09.11 1739 100
1015 기도와 마음 - 이지엽 2008.03.24 1738 157
1014 장미 - 박설희 2009.03.09 1737 98
» 이 밤이 새도록 박쥐 - 이윤설 2006.12.20 1736 233
1012 희망에 부딪혀 죽다 - 길상호 2004.06.04 1735 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