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겨울의 이마 - 하정임

2009.12.18 17:36

윤성택 조회 수:1189 추천:127

  <겨울의 이마>/ 하정임 (2004년 『시인세계』로 등단) / 《현대시》 2009년 12월호

  겨울의 이마

  겨울이 깊어가니 눈이 내렸고, 밤이 깊어가니 애인이 찾아왔고, 사랑이 깊어가니 이마가 따가웠다

  하루에 열다섯 번씩 심심해진 애인과 이마를 붙이고 잠이 들고, 우리는 차이도 없이 솜털 같은 입김을 나누고, 도망가지 않기 위해 다리를 엮었다 창밖에는 흰 눈이 쌓이는데 우리는 이웃도 기약도 없이 애인이 되었다

  아득하고 서러운 식물이 키를 높일 때 방 안에는 우리의 웃는 얼굴이 방생 되고, 푸른 곰인형에게도 심장이 생길 듯했다 라디오에서 시대의 가난을 이야기할 때 더 가난한 우리는 서로의 발목을 끊어 서로를 먹이고 배가 부르게 쌓인 흰 눈을 이야기했다

  우리의 행성이 태양에 가까워지자 행성의 기울어진 이마에서 미처 눈이 녹기 시작했다 우리는 발자국이 남은 눈 위로 서로의 독해진 눈빛을 자주 풀어주고 싶었다

  그리고 곧 없는 발목으로 떠나지도 못하는 방에는 식물의 이마 같은 떡잎이 떨어졌다 봄이 오거나 여름이 오거나 할 것이었다 발목도 눈도 없이 뜨거운 이마도 버린 채 우리는 그 방에 갇혀 울었다

        
[감상]
눈 내리는 겨울, 가난한 연인의 집이 있습니다. 그 안 존재로서의 두 남녀가 교감되는 과정이 애잔하게 이어집니다. 아마도 애인은 푸른 턱을 가진 것 같군요. ‘사랑이 깊어가니 이마가 따가’운 건 면도를 해도 까칠한 턱 때문일 것입니다. 기쁘거나 슬픈 감정을 함께하는 이 연인은 내면의 합일을 통해 존재에 대한 성찰로 환기됩니다. ‘서로의 발목을 끊어 서로를 먹이’는 행위는 어쩌면 이러한 신체적 훼손을 통해 그 트라우마(정신적 상처)를 공유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식물의 잎이 피고 지고 봄이 오고 가을이 와도 두 남녀는 계속 애인으로 남게 될까요. 혹시 감정이 떠나고 있다면 그 방은 서로의 구속은 아닐까… ‘우리는 그 방에 갇혀 울었다’의 맺음에서 겨울의 이마를 가만히 짚어보게 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31 나무에게 묻다 - 천서봉 2001.06.11 1781 327
1130 바닷가 우체국 - 안도현 2001.06.12 1619 267
1129 민들레 - 이윤학 2001.06.13 1803 285
1128 아카시아 - 박순희 2001.06.14 1757 313
1127 4월 - 한용국 [1] 2001.06.15 1565 301
1126 그린 듯이 앉아 있는 풍경 - 박형준 2001.06.18 1534 280
1125 그 숲엔 무수한 뼈가 있다 - 김충규 2001.06.19 1443 311
1124 지푸라기 허공 - 나희덕 2001.06.20 1516 287
1123 네가 그리우면 나는 울었다 - 고정희 2001.06.21 1636 276
1122 내 품에, 그대 눈물을 - 이정록 2001.06.22 1488 268
1121 풀잎 다방 미스 조 - 정일근 2001.06.27 1416 265
1120 희망은 카프카의 K처럼 - 장석주 2001.06.28 1649 325
1119 그대들의 나날들 - 마종하 2001.06.29 1522 319
1118 사랑한다는 것 - 안도현 2001.07.02 1970 274
1117 내 안의 골목길 - 위승희 [2] 2001.07.03 1517 269
1116 중독 - 조말선 2001.07.05 1617 288
1115 꿈 101 - 김점용 2001.07.06 1618 279
1114 첫사랑 - 하재봉 2001.07.09 1892 306
1113 사랑니 - 고두현 [1] 2001.07.11 1841 258
1112 흉터 속에는 첫 두근거림이 있다 - 정영선 2001.07.12 1620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