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자폐, 고요하고 고요한 - 최을원

2009.12.15 18:00

윤성택 조회 수:949 추천:129

  『계단은 잠들지 않는다』 / 최을원 (2002년 『문학사상』으로 등단) / 《황금알 시인선 32》

        자폐, 고요하고 고요한

        아이는 오늘도 동네 쓰레기 태운 잿더미를 뒤진다
        한 움큼의 녹슨 못을 보물처럼 찾아들고
        자기 속으로 들어간다
        집 속에 또 집을 짓는다

        대문 밖에는 늘 아이의 엄마가 서 있다
        아이에게서 아이를 찾고 있다 아가야, 너를 만나러
        얼마나 많은 문을 지나왔는지 아니
        대문 두드릴 때마다 아이는 집 한 채 또 짓는다

        저 오랜 숨바꼭질도 언젠가 끝날 것이다
        대문 위에 대문을 덧대는 끊임없는 망치질 소리
        저 집이 완성되는 날,

        그 곳엔 아무도 없었다

        문패 하나 내걸고 아이는 오래된 성(成)처럼 잠들 것이다
        떠돌이 바람이
        오고
        가고
        마른 풀 사이에 싸락눈이 쌓여갈 것이다

        
[감상]
자폐증에 걸린 아이의 심리와 ‘문’에 대한 직관적 묘사가 서늘하게 파고듭니다. 가령 1연의 사소한 ‘못’이 3연의 ‘망치질’로 연결되는 것이나, 심리적 닫힘 현상을 집 속의 집으로 표현한 것이 그렇습니다. 자폐란 흔히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함께 나타나는 발달 상의 장애라고 합니다. 그러나 시인은 ‘아이’를 장애로 보기보다는 아이가 하고픈 것에 대해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담담하게 그려냅니다. 이러한 관점이 이 시의 울림이 되는 부분이겠지요. 뇌의 보상효과라고 할까요. 자폐증 때문에 아이는 말문을 닫았지만, 실은 내면의 어떤 면에서는 풍부한 사고나 집중력이 잠재되어 있을 것입니다. 아이가 만든 ‘성(成)’은 이러한 쓸쓸한 잠재적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긴 들판을 홀로 건너왔다/ 오랫동안 꼭 쥐고 있었던 손을 펴본다’는 시인의 첫 시집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1 제기동 블루스·1 - 강연호 [2] 2001.04.10 1801 283
50 맑은 날 - 김선우 2001.04.18 2227 284
49 민들레 - 이윤학 2001.06.13 1803 285
48 가을산 - 안도현 2001.09.27 2815 286
47 지푸라기 허공 - 나희덕 2001.06.20 1516 287
46 이별 - 정양 2006.03.02 2542 287
45 중독 - 조말선 2001.07.05 1617 288
44 낙타 - 김충규 [1] 2001.04.04 2000 288
43 여자들 - 김유선 2001.04.21 1865 291
42 자미원민들레 - 이향지 2001.04.27 1576 291
41 길에 관한 독서 - 이문재 2001.07.19 1574 291
40 나무의 내력(來歷) - 박남희 [2] 2001.04.04 2042 291
39 왕십리 - 권혁웅 [1] 2001.04.10 1842 292
38 너를 기다리는 동안 - 황지우 2001.04.19 2094 292
37 벽돌이 올라가다 - 장정일 2001.04.25 1712 294
36 정거장에서의 충고 - 기형도 [2] 2001.04.03 3113 294
35 구부러진 길 저쪽 - 배용제 [1] 2001.04.06 1939 296
34 김밥 마는 여자 - 장만호 2001.05.15 1610 298
33 오존 주의보 2 - 문정영 [1] 2001.04.07 1848 299
32 서울에 사는 평강공주 - 박라연 [1] 2001.04.03 2095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