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문은 안에서 잠근다 - 김행숙

2003.11.14 10:25

윤성택 조회 수:1215 추천:167

『사춘기』/ 김행숙/ 문학과지성사



        문은 안에서 잠근다



  후려갈기듯이 그가 문을 닫았다고 생각했을 때, 문은 제대로 닫히지 않았다 문은 반발(反撥)하여 조금 열린 채 떨리고 있었다 그가 부르르 떨고 있는가? 오래 참으셨군, 나는 빈정거렸지만
  
  나는 바닥을 드러낸 채 그의 침대에서 너무 오래 기생했다 두께 없는 얄팍한 사랑을 원고지 구기듯이 했네 나는 썼지만
  구겨진 그를 펴서 다시 읽고 싶지 않았네 나는
  썼지만 그는 때때로 아, 벌어져 있었네 그의 침대에서
  나를 핥고 지나가는 문장들을 나는 너무 쉽게 받아들였네 그가 없는 그의 침대에서
  나는 뜨거워지지, 그러니 그가 없는 그의 침대에서 참을 수 없었네 오래 참으셨군,
  나는 빈정거렸지만 내가 나쁘지 않은가?
  문을 닫았다고 그는 믿지만 문의 반동(反動)은 그의 행위에서 비롯하니, 이것이 내가 받은 교훈의 전부다
  
  이제 내 낙서는 어디로 흘러갈 것인가? 다시 바람이 나침반인가? 문이 자꾸 펄럭이니 문 밖의 풍경은 빠르게 늘어났다가 줄어들고 늘어…… 나는 중얼거린다,
  문은 안에서 잠근다.


[감상]
그와 나, 그리고 성적인 메타포가 강렬한 시입니다. 문을 닫고 나가는 몫이 그의 것이라 생각되겠지만 사실은 세상에 그를 가둔 것은 화자인 셈입니다. 어찌보면 페미니즘적인 성향으로도 여길 수 있는데, 그것보다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상력에 더 무게가 있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안과 밖을 시인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 조형감각이 뛰어납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91 문을 닫다 - 문성해 2007.08.28 23702 98
1190 위험한 그림 - 이은채 [1] 2005.02.25 15698 191
1189 절정 - 함성호 2011.04.25 4061 157
1188 벚꽃 나무 주소 - 박해람 2015.05.11 3646 0
1187 행복 - 이대흠 [2] 2011.03.18 3637 182
1186 가을날 - 이응준 2002.09.26 3601 259
1185 봄비 - 서영처 2006.01.14 3275 276
1184 추억 - 신기섭 [6] 2005.12.06 3154 232
1183 정거장에서의 충고 - 기형도 [2] 2001.04.03 3114 294
1182 꽃피는 아버지 - 박종명 [4] 2001.04.03 3088 281
1181 해바라기 - 조은영 [1] 2005.11.01 3023 251
1180 사랑은 - 이승희 2006.02.21 2977 250
1179 별 - 김완하 2002.08.12 2923 249
1178 가을산 - 안도현 2001.09.27 2816 286
1177 고백 - 정병근 [1] 2005.08.17 2712 250
1176 싹 - 김지혜 2005.12.27 2666 266
1175 그물을 깁는 노인 - 김혜경 [1] 2001.04.09 2632 306
1174 유리꽃 - 이인철 2006.04.03 2589 253
1173 이별 - 정양 2006.03.02 2542 287
1172 우체통 - 이진명 2001.04.11 2539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