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별 모양의 얼룩 - 김이듬

2003.12.15 13:51

윤성택 조회 수:1516 추천:183

「별 모양의 얼룩」/ 김이듬 / 『시와사상』 2003년 겨울호



        별 모양의 얼룩


  베란다다 이불을 턴다 소녀가 떨어진다 무거운 수명들과 단단한
골격의 냄새가 묻은 이불을 털다  한 여자가 떨어져버린 저녁,  피
가 번지는 잿빛 구름속으로  타조 한 마리  날아가는  지방 뉴스가
방영되고  기차를 타고 가던 그들도 앞부분이 무거운 문장의 자막
을 읽게 될 것이다

  순식간이다 얼룩이 큰일이다  이불을 뒤집어쓰면서 추위는 시작
된다 냄새나고 화끈거린다  두근두근한다  몰래 홑청을 바꾸고 펴
놓았다 개킨다  올리다가 다시 내린다  이불 속 깃털을 뽑는다  큰
타조의 날개는 사라지고 발간 민머리 누더기, 이상한 얼룩이 묻은
이불은 논리가 없다 귀찮아 걷어찼다가 다시 껴안는다  제대로 꿰
매지지 않는 기억은  비벼댈수록 스며들고  씻을수록 번져간다 어
느새 늙고 추악한 소녀를 돌돌 말고 있다

  천상에서 이불을 털고 있나  검은 구름을 뚫고  희뿌연 깃털들이
뽑혀나오는 저녁,  자살할 기회를 쥐기 위해  그들이 집을 떠날 때
나는 거울을 보며 마구 머리칼을 자르고 있었다 첫눈 내리던 밤이
었고 넓고 푹신푹신한 이불이 베란다 아래 펼쳐져 있었다
  모두의 기대를 배반하고 난 눈을 뜬다  의사만 조금 웃는다 태어
나던 순간에도 이랬을 것이다


[감상]
태어나는 순간도 경이롭지만 죽을 뻔한 사람이 깨어나는 것도 경이롭습니다. 이 시는 이불과 타조, 얼룩, 자살로 이어지는 전이과정이 독특합니다. 어떠한 인과와 상식이 끼어 들 틈이 없이 자의식이 기술되어 낯선 알레고리가 형성되고요. 1연과 2연은 마치 꿈속 같은 상상의 언술이라면, 3연은 그 거침없이 뻗어갔던 진술을 현실에 활착 시키는 부분이 됩니다. 쉽게 간파되지 않아 내력에 여운이 있는 시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91 문을 닫다 - 문성해 2007.08.28 23701 98
1190 위험한 그림 - 이은채 [1] 2005.02.25 15698 191
1189 절정 - 함성호 2011.04.25 4061 157
1188 벚꽃 나무 주소 - 박해람 2015.05.11 3646 0
1187 행복 - 이대흠 [2] 2011.03.18 3637 182
1186 가을날 - 이응준 2002.09.26 3601 259
1185 봄비 - 서영처 2006.01.14 3275 276
1184 추억 - 신기섭 [6] 2005.12.06 3154 232
1183 정거장에서의 충고 - 기형도 [2] 2001.04.03 3114 294
1182 꽃피는 아버지 - 박종명 [4] 2001.04.03 3088 281
1181 해바라기 - 조은영 [1] 2005.11.01 3023 251
1180 사랑은 - 이승희 2006.02.21 2977 250
1179 별 - 김완하 2002.08.12 2923 249
1178 가을산 - 안도현 2001.09.27 2816 286
1177 고백 - 정병근 [1] 2005.08.17 2712 250
1176 싹 - 김지혜 2005.12.27 2666 266
1175 그물을 깁는 노인 - 김혜경 [1] 2001.04.09 2632 306
1174 유리꽃 - 이인철 2006.04.03 2589 253
1173 이별 - 정양 2006.03.02 2542 287
1172 우체통 - 이진명 2001.04.11 2539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