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집들의 뿌리 - 길상호

2004.07.27 10:11

윤성택 조회 수:1337 추천:175

《오동나무 안에 잠들다》/ 길상호/ 《문학세계사》(근간)

        
        집들의 뿌리

        어디로 이어졌는지 아직 다 걸어보지 못한
        골목들은 거기 감자처럼 달려 있는 집의 뿌리였다
        이제야 알게 된 것이지만 골목은
        기쁨과 슬픔을 실어 나르던 체관과 물관이었다
        다 허물어져 알아볼 수도 없는 이 집에 들어
        대문을 열고 드나들었을 사람들 떠올려보면
        지금은 떨어져 버린 기쁨과 슬픔의 열매가 보인다
        막 화단에 싹틔운 앵두나무에는 나무를 심으며
        앵두꽃보다 먼저 환하게 피었을 그 얼굴이 있다
        마루에 앉아 부채질로 하루를 식히다가 발견한
        그 붉은 첫 열매는 첫입맞춤의 맛이었을까
        그러나 저기 마루 밑에 버려진 세금고지서 뭉치,
        대문에 꽂힌 저 종잇장을 들고 앉아 있는
        그의 얼굴에는 누렇게 변색된 나뭇잎 하나 걸려 있다
        체납액이 커질수록 가뭄처럼 말라가던 가슴은
        지금도 금 간 흔적을 지우지 못하리라
        어쩌자고 골목은 나를 빨아들여
        사람도 없는 이 집에 데려다 놓은 것일까
        오래도록 먼지와 함께 마루에 앉아 있으면
        내가 드나들던 집에 나는 기쁨이었는지 슬픔이었는지
        물기 잃은 잎처럼 시들해진다

[감상]
골목을 '뿌리'로 바꿔내는 발상은 서정이 뛰어난 식물성 집을 만들어내는 은유로 마무리됩니다. 무엇을 달리 볼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이 시는 삶과 기억을 '집'이라는 메타포에 강렬하게 응집시켰다고 할까요. 쓸쓸하게 버려진 빈집에 앉아 고요함에 마음을 내맡기는 풍경이 눈에 선합니다. 시집 곳곳 자기 성찰에서 오는 따뜻한 발견이 감동적인 시집이더군요.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 집들의 뿌리 - 길상호 2004.07.27 1337 175
650 만선 - 이동호 2004.07.23 1307 162
649 홍시 - 이경교 [1] 2004.07.21 1442 211
648 다시 죽변에 가서 - 임동윤 2004.07.20 1342 187
647 내 가슴의 무늬 - 박후기 2004.07.16 2201 223
646 손잡이 - 김은규 [2] 2004.07.14 1336 179
645 바람은 어디에서 생겨나는가 - 조용미 2004.07.13 1319 160
644 미싱 - 이혜진 2004.07.12 1172 160
643 재촉하다 - 이규리 [2] 2004.07.02 1331 171
642 나무에게 - 양현근 [1] 2004.07.01 1600 172
641 그리운 가족 - 박판식 2004.06.29 1545 194
640 꽃을 만드는 여자 4 - 김은덕 2004.06.25 1277 170
639 물푸레나무라는 포장마차 - 이정록 [1] 2004.06.23 1273 161
638 네트워크 - 정학명 [1] 2004.06.22 1079 177
637 과월호가 되어 버린 남자 - 한용국 2004.06.21 1108 188
636 저, 모래씨앗 - 김수우 2004.06.18 1221 177
635 프랑켄슈타인 - 김순선 2004.06.17 1124 174
634 댄스 파티 - 이정주 [1] 2004.06.16 1093 171
633 종각역 - 조정 2004.06.15 1267 195
632 신의 카오스이론 - 김연숙 [4] 2004.06.14 1231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