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오조준 - 이정화

2004.12.06 15:13

윤성택 조회 수:1065 추천:203

「오조준」/ 이정화/ 《현대시학》2004년 12월호

        
  오조준

  바람이 거세어지기 시작한다며 해설자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두고 흥
분하고 있었다  총알이 뚫어야하는 것은 공기의 저항이며  총구는 과녁을
약간 빗겨 나가  조준하여야 한다는 것  사수가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표적이 아니라  표적이 놓여있는 주변의 움직임이라는 것  오차범위를 계
산한 오조준만이 정확히 과녁을 관통할 수 있다는 것  결국은 정조준이라
는 것 일발필살의 단발이 당신의 배후를 노리고 있다 목표물을 향하여 고
정되어 있는 당신의 시선은 그러므로 수정되어야 한다  지금 바람이 불고
있다

[감상]
결국 정통으로 맞춰야하는 것은 표적이 아니라 허공입니다. 이 시가 상식을 극대화한 시적 발견인 것은 ‘당신의 시선은 그러므로 수정되어야 한다’라는 모색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정통이라고 믿었던 것들을 향해 나아가는 동안, 얼마나 많은 변수가 새로운 정통을 만들어가는지요. 살아가다보면 정조준을 위해 수많은 오조준해야 할 순간들이 다가올 것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11 정비공장 장미꽃 - 엄재국 2004.11.01 1076 183
510 도배를 하다가 - 문신 2004.11.02 1221 181
509 뗏목 - 조은영 2004.11.04 1238 179
508 정류장 - 안시아 2004.11.06 1623 194
507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슬픈 두 귀 - 박후기 2004.11.08 1106 170
506 눈 내리니 덕석을 생각함 - 박흥식 [3] 2004.11.09 1124 164
505 방바닥에 떨어진 머리칼 - 박형준 2004.11.12 1187 177
504 선명한 유령 - 조영석 2004.11.15 1086 165
503 달팽이 - 전다형 [1] 2004.11.16 1544 172
502 나무는 지도를 그린다 - 송주성 [4] 2004.11.17 1420 183
501 심장의 타종 - 박판식 2004.11.19 1299 176
500 누가 우는가 - 나희덕 [1] 2004.11.23 1609 173
499 울릉도 - 도혜숙 [1] 2004.11.25 1271 177
498 흔적 1 - 황상순 [7] 2004.11.27 1544 207
497 그 저녁 - 김다비 [1] 2004.11.29 1511 217
496 voyant - 김춘수 [1] 2004.11.30 1196 192
495 거친 나무상자 - 안주철 [1] 2004.12.01 1186 177
494 콩나물국, 끓이기 - 이동호 2004.12.03 1399 202
» 오조준 - 이정화 [1] 2004.12.06 1065 203
492 막돌, 허튼 층 - 이운룡 2004.12.07 1049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