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총잡이들의 세계사 - 안현미

2006.02.23 17:03

윤성택 조회 수:1612 추천:233

『곰곰』 / 안현미/  《문예중앙 시인선》


  총잡이들의 세계사

  세상은 흙먼지 날리는  무법천지의 서부와도 같다고 아
이가 말했을 때 나는 지붕 위에 올라 앉아 있는 마네킹을
보고 있었다  어쩌면 그건 아이의 염색한 머리 색깔과 마
네킹의 머리 색깔이 같아서였는지도 모른다 피나 콜라다
빛 머리 색깔,  이방인처럼 낯선 아이의 말풍선 속에서는
욜라 짱나 담탱이 같은 해체된 모국어가 쉴 새 없이 튀어
나오고 구겨진 교복엔 기름때가 얼룩져 있다 지구의 반대
편에선  검은 오일 때문에  유혈 전쟁이 한창이지만  검은
오일이  장전된 총을 들고 짙은 선탠이 된  자동차 뒤꽁무
니를 향해  방아쇠를 당기는  아이의 총에선 불꽃이  일지
않는다 선탠이 된 차창이  스르르 열리고 가발 쓴  대머리
아저씨가 골드카드에 사인을 할 때 아이는 서부의 총잡이
존 웨인이 되어 조수석 짙은 화장을 하고 마네킹처럼 앉아
있는 제 또래의 여자아이를 구출하는 상상을 한다 다행히
그건 이 도시에서 무시로 일어나는 일이어서 아이는 제 총
을 가발 쓴 대머리 아저씨의 머리통에 들이밀지 않고 만국
기가 펄럭이는  주유소 앞 바보 같은  허풍선이 거인 풍선
인형만 펄럭펄럭 춤을 추고 있다


[감상]
주유소에 가면 주유아르바이트생이 있지요. 이 시는 그 아이들의 삶과 사회의 부조리 등을 <무법천지의 서부>와 비유해 풀어냅니다. 염색의 <머리 색깔>과 <해체된 모국어>는 어쩌면 각박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방편일지도 모릅니다. 언제 불붙을지 모를 주유 방아쇠를 당기는 불안한 청춘이지만, 원조교제 여자아이의 구출을 상상하듯 마음 속 정의만은 살아 있습니다. 치밀한 묘사와 <거인 풍선>으로 치닫는 의미가 인상적입니다. 전체적으로 톡톡 튀는 사이다 맛 시집이랄까.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951 내 안의 붉은 암실 - 김점용 2002.05.30 1111 193
950 편지, 여관, 그리고 한 평생 - 심재휘 2002.05.31 1187 178
949 영자야 6, 수족관 낙지 - 이기와 2002.06.03 1007 182
948 해마다 - 윤이나 2002.06.04 1198 213
947 이별여행 - 손현숙 2002.06.05 1247 211
946 카니발의 아침 - 박진성 2002.06.07 1165 219
945 비닐하우스 - 조말선 2002.06.10 1165 210
944 소들은 울지 않는다, 웃는다 - 최금진 2002.06.11 1259 200
943 몰입 - 고영민 2002.06.12 1216 216
942 전봇대와 고양이의 마을 - 김언 2002.06.14 1225 224
941 너 아직 거기 있어? - 김충규 2002.06.15 1336 221
940 그리움의 거리 - 조재영 2002.06.17 1350 201
939 이장 - 한승태 2002.06.18 1094 226
938 꽃나무와 남자 - 조정인 2002.06.19 1167 198
937 망설임, 그 푸른 역 - 김왕노 2002.06.20 1153 174
936 상가(喪家)에 모인 구두들 - 유홍준 2002.06.24 1020 162
935 강풍(强風)에 비 - 김영승 2002.06.25 1063 171
934 다대포 일몰 - 최영철 2002.06.26 1007 180
933 지금은 꽃피는 중 - 류외향 2002.06.27 1246 179
932 일몰 - 홍길성 2002.06.28 1156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