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붉은 편지가 도착했다 - 박미라

2006.08.26 17:11

윤성택 조회 수:1864 추천:210

《붉은 편지가 도착했다》 / 박미라/ 《현대시시인선》(2004)


        붉은 편지가 도착했다

        코피를 쏟았다
        검붉은 꽃잎이 수북이 쌓인다
        꽃잎으로 위장한 편지
        핏빛 선명한 이 흘림체의 편지를
        나는 읽어낼 수 없다

        행간도 없이 써 내려간 숨 막히는 밀서를
        천천히 짚어간다
        꽃잎 뭉개지는 비릿한 냄새 온 몸에 스멀댄다
        기억의 냄새만으로도
        노을이 타오르고 맨드라미 자지러지는 저녁을
        맨발의 내가 엎어지며 간다
        이 편지의 수취인은 내가 아니다
        녹슨 우체통 속에서 늙어가는
        뜯지 않은 편지를
        먼지 자욱한 세상의 뒤쪽으로 반송한다

        젖은 꽃잎을 떼어 빈 봉투에 붙인다
        어딘가의 주소를 적는다
        여기는 백만 년 후의 무덤이라고 쓴다

        집 잃은 아이처럼 헤매는 비린내를 거두어 담는다
        붉은 글자들을 손바닥으로 쓸어 담는다
        받는 이의 주소를 적는다
        몸이 쓴 편지를 읽을 줄 아는 마음에게 라고 쓴다
        백만 년 전에도 마음이었던 그대
        여기, 지워진 행간을 동봉한다


[감상]

인간의 혈액 속에는 DNA 등 많은 정보가 들어 있습니다. 그 정보들은 먼 과거에서부터 이어져온 생명의 진화와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 시는 어느 날 문득 코피를 쏟는 모습에서 놀랍게도 <편지>를 발견합니다. 코에서 꽃잎처럼 뚝뚝 떨어지는 피가 과거 어딘가에서 보내온 편지라는 것이지요. 기실 지름 1mm의 작은 핏방울 하나에 백혈구 7천 개, 혈소판 50만 개, 적혈구 500만 개가 들어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작고 미세한 것을 과학의 눈으로 볼 수 있게 되면서 요즘은 우주의 발견을 혈액 속 질서와 연관 짓기도 합니다. 태아가 자궁에서 혈액을 공급받듯 어머니와 그 어머니의 어머니를 따라 혈액의 근원을 쫓아 올라가다보면 <백만 년 전에도 마음이었던 그대>를 만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 시에서 <이 편지의 수취인은 내가 아니다>라는 점은 화자 또한 <편지>의 전달 과정이며, 아득히 먼 후대로 자손을 따라 피가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이 편지는 얼마나 <숨 막히는 밀서>입니까.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71 의무기록실의 K양 - 문성해 [1] 2006.07.19 1367 202
270 낡은 침대 - 박해람 [2] 2006.07.22 1918 219
269 뺨 - 함순례 [2] 2006.07.25 1854 225
268 나비의 터널 - 이상인 [1] 2006.07.27 2064 241
267 울고 있는 사내 - 장만호 2006.07.31 1879 229
266 파도의 방 - 김수우 [2] 2006.08.14 2112 199
265 못은 밤에 조금씩 깊어진다 - 김경주 [1] 2006.08.17 1791 196
264 밤비 - 한용국 2006.08.22 1925 205
» 붉은 편지가 도착했다 - 박미라 [2] 2006.08.26 1864 210
262 하모니카 부는 참새 - 함기석 [2] 2006.09.06 1716 230
261 엽낭게 - 장인수 2006.09.13 1272 239
260 킬러 - 안시아 2006.09.17 1633 216
259 지는 저녁 - 이은림 [1] 2006.09.19 2140 217
258 행성관측 - 천서봉 2006.09.22 1522 239
257 산후병동 - 김미령 2006.09.27 1419 216
256 고추 - 최영철 [1] 2006.09.29 1572 212
255 야적 - 이하석 [1] 2006.10.10 1293 190
254 밤의 메트로 - 강인한 [1] 2006.10.13 1368 205
253 감자를 캐며 - 송은숙 2006.10.16 1700 225
252 이별 - 안성호 [2] 2006.10.23 1961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