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역류 - 정재학

2008.07.18 17:06

윤성택 조회 수:1288 추천:110

『광대 소녀의 거꾸로 도는 지구』 / 정재학 (1966년 『작가세계』로 등단) / 《민음사》(2008)


  역류

전화가 왔다 오랜 친구 번호였다  여보세요 여보세요 친
구는 대답이 없고  심한 잡음 너머  두 사람이 얘기를 나
누고 있었다 지직거리는 소음과 섞이지 않는  대화가 조
금씩 확대되었다  내 목소리가 꾸물꾸물 수화기를  비집
고 기어 나왔다 고등학생 때였다 아주 오래전의 일이었
지만 우리의 대화는  손마디를 느끼는 것처럼 생생했다
우리는 여자 친구에 대한 고민을 얘기하고 담임 욕을 하
기도 했다 그냥 그런 얘기들이었다  지금도 그리 다르지
않다  내일 학교  끝나고 수돗가 앞에서 만나기로  하고
나는 전화를 끊었다 항상 수도를 잠그지 않는 애들이 있
었다 모두 무관심하게 지나쳤다  그 물은 지금도 넘치고
있을까 우리가 내뱉은 말들이 그 오랜 시간 어디쯤에서
반사되어 다시 나에게 온 것일까
어디로 다시 떠나는 것일까 우리의 대화는


[감상]
기억은 잡음과도 같은 물리적 시간을 거슬러 원하는 것을 불러내는 능력일지도 모릅니다. 이 시를 읽다보면 친구와의 대화에 끼어드는 ‘소음’이 인식의 전환지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치 영화 <동감>의 스토리처럼 과거로 몰입되는 과정이 자연스러워 흐름이 전혀 거슬리지 않습니다. ‘수도를 잠그지’ 않는다는 것. 과거는 미래로 열려 있으니, 역으로 미래는 과거를 전제로 흘러왔을 것입니다. 그 통로와도 같은 현재에 잠그지 않는 수돗물처럼 시간이 흘러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고등학교 때 나눠가졌던 추억이 지금 어딘가, 이 시간 누구의 기억 어딘가에서 흘러넘치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91 마블링 - 권오영 2020.04.23 363 0
1190 조난 - 윤의섭 2011.01.05 694 75
1189 얼음 이파리 - 손택수 2011.01.01 698 61
1188 가방 - 유미애 2011.01.04 711 80
1187 강변 여인숙 2 - 권혁웅 2011.01.06 727 72
1186 와이셔츠 - 손순미 2011.01.10 752 69
1185 근황 - 정병근 2010.12.31 756 81
1184 그믐 - 김왕노 2011.01.13 783 75
1183 바다의 등 - 차주일 2011.01.11 807 67
1182 부레 - 박현솔 2011.01.29 816 108
1181 단봉낙타의 사랑 3 - 박완호 2003.04.17 847 163
1180 자전거 보관소를 지나며 - 문정영 2003.01.03 854 172
1179 추상 - 한석호 2009.11.21 855 119
1178 뚜껑이 덮인 우물 - 이향지 2003.01.06 872 195
1177 공중의 유목 - 권영준 [1] 2003.02.04 888 160
1176 뿔에 대한 우울 - 김수우 2002.12.24 895 161
1175 불우를 씻다 - 유정이 2011.01.27 896 112
1174 암각화 - 오탁번 2003.04.01 903 165
1173 대설 - 정양 2009.11.19 905 109
1172 나무 안에 누가 있다 - 양해기 2009.11.18 906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