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구부러진 길 저쪽 - 배용제

2001.04.06 11:52

윤성택 조회 수:1939 추천:296

삼류극장에서의 한때 / 민음의시 86




구부러진 길 저쪽


그녀는 그 고장 사람이 아니었다
몇 해 전 읍의 외곽 구부러진 길을 통하여 이곳에 왔다
망토처럼 걸친 옷차림, 전혀 다른 내용이 씌어진
서적의 표지처럼 낯설고 거추장스러웠지만,
들춰보면 어디서 내용을 빠트렸는지 아무것도 없는 빈 백지뿐이었다
어느 고장이든 이런 소품은 있는 거라고
한적한 읍내 풍경에 심심찮게 진열되곤 했다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웃음을 게워냈다
몸속엔 웃음 외 무엇도 들어 있지 않은 것처럼,
웃음을 전파하러 온 순례자처럼
온종일 웃음을 흘리고 다녔다, 어느새 아이들은
그녀의 신도가 되어 뒤따르며 곧잘 흉내를 냈다
흰 습자지 같은 웃음은, 그러나 깃발처럼 흔들리며
창백한 한낮을 배회했다
착한 사람들은 동정 따위를 들고 모여들었다
의견이 분분했다, 제각기 지난날의 신분에 대해 추측하면서
백지의 내용을 읽었노라고 우겨댔다
부풀려진 소문이 그녀를 낙서장으로 사용했다
밤이 되어 길 저쪽으로 흘러가는 사람들에게
그녀는 언제나 마지막 이별을 했다
누구나 한 번은 구부러진 길을 통과한다는 사실에 대해,
그 경험의 충격들을 용서하듯이 한참을 우두커니 웃고 있었다
어느 날 그 하얀 웃음이 차에 치여 나뒹굴었다
그녀는 히죽이며, 또는 헐떡이며
거센 충격을 흡수하면서 끝까지 웃음을 게워냈다
웃음을 전파하다 사라지는 순교자처럼,
최후의 웃음이 쏟아져 나왔다, 찢어진 가죽 부대처럼
여기저기서 붉은 웃음이 주룩주룩 한꺼번에 부어졌다
구부러진 길 저쪽으로 사람들이 다시 흩어지고 있었다.




[감상]
배용제 시인의 이름을 신춘문예 최종심에서 발견하기 시작한 때는 95년도 정도부터였던 것 같다. 97년 동아일보에 당선되기 전, 한 해에 중앙지 신춘문예 최종심에 2-3곳은 올랐던 그였다. 대체 어떤 시를 썼기에 그의 시가 번번이 복권당첨과도 같은 신춘문예 최종심에 올랐던 것일까 적잖이 궁금해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오랜 시간을 견디었기 때문일까. 그의 예순여섯 편의 두툼한 시들을 펼쳐 읽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길고 권태로운 그의 시편에서 피어오르는 달콤한 죽음의 향기를 맡았기 때문이었다. "죽음"이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오래 전부터 잔류되어온 화두이기에 그의 시는 오히려 친근감까지 들었다. 또한 生은 지리멸렬하고 세상은 더욱 혼탁하게만 여겼던 그 당시 나의 관념에서도 치명적인 울림이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11 그믐이었다 - 노춘기 2008.01.11 1235 119
1110 늑대의 문장 - 김태형 2008.08.01 1432 119
1109 그리운 상처 - 양현근 [1] 2009.04.23 2106 119
1108 추상 - 한석호 2009.11.21 855 119
1107 연두의 시제 - 김경주 [1] 2009.12.02 1087 119
1106 잠 속의 잠 - 정선 [1] 2011.02.07 1258 119
1105 밤 낚시터 - 조숙향 2007.08.01 1239 120
1104 기습 - 김은숙 2007.09.05 1244 120
1103 꽃과 딸에 관한 위험한 독법 - 김륭 2008.02.21 1276 120
1102 요긴한 가방 - 천수호 2009.04.15 1473 120
1101 청춘 3 - 권혁웅 [1] 2007.10.30 1266 121
1100 길에 지다 - 박지웅 2008.01.10 1408 121
1099 나무 안에 누가 있다 - 양해기 2009.11.18 906 121
1098 네 어깨 너머, - 김충규 2010.01.18 1145 121
1097 스위치 - 김지녀 2010.01.26 1536 121
1096 Across The Universe - 장희정 2007.11.12 1694 122
1095 거기 - 조말선 2007.11.21 1245 122
1094 사랑은 매일 걷는 길가에 있다 - 구재기 2009.11.24 1304 122
1093 가슴 에이는 날이 있다 - 백미아 2008.10.17 2056 123
1092 이 골목의 저 끝 - 정은기 2009.04.09 1782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