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파랑을 기리는 노래 1」 / 이성복 (1977년 『문학과지성』으로 등단) / 2007년 《현대문학》 8월호  
        기파랑을 기리는 노래 1
                - 나무인간 강판권        
        언젠가 그가 말했다, 어렵고 막막하던 시절
        나무를 바라보는 것은 큰 위안이었다고
        (그것은 비정규직의 늦은 밤 무거운
        가방으로 걸어 나오던 길 끝의 느티나무였을까)
        그는 한 번도 우리 사이에
        자신이 있다는 것을 내색하지 않았다
        우연히 그를 보기 전에는 그가 있는 줄을 몰랐다
        (어두운 실내에서 문득 커튼을 걷으면
        거기 한 그루 나무가 있듯이)
        그는 누구에게도, 그 자신에게조차
        짐이 되지 않았다
        (나무가 저를 구박하거나
        제 옆의 다른 나무를 경멸하지 않듯이)
        도저히 부탁하기 어려운 일을
        부탁하러 갔을 때
        그는 또 잔잔히 웃으며 말했다,
        아니, 그건 제가 할 일이지요
        어쩌면 그는 나무 이야기를 들려주려
        우리에게 온 나무인지도 모른다
        아니면, 나무 이야기를 들으러 갔다가 나무가 된 사람
        (그것은 우리의 섣부른 짐작일 테지만
        나무들 사이에는 공공연한 비밀)
        
[감상]
읽고 나서 자료를 좀 찾다보니 이 시의 묘미가 더 새롭군요. 기파랑은 신라 때 승려인 충담사가 지은 향가 찬기파랑가에서 추모되는 신라의 화랑입니다. 이 향가는 기파랑을 절개가 있고 물이나 대나무처럼 자연의 모습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무인간 강판권>은 누구일까. 시의 흐름으로 보아 <나무 이야기를 들려주려/ 우리에게 온 나무>이거나 <나무 이야기를 들으러 갔다가 나무가 된 사람>으로 읽는 이로 하여금 상상력을 자극합니다만, 올 6월에 『나무열전』 책을 펴낸 저자이더군요. 더욱 흥미로운 것은 이 책의 추천글을 이성복 시인이 지금의 시와 동일하게 썼다는 점입니다. 그러니까 추천글이 시가 된 상황인데, 행과 연을 나누고 괄호를 적절히 사용하니 산문과는 다르게 좀더 깊은 울림이 우러납니다. 제목에서처럼 앞으로 서정에 대한 연작시로 이어질 듯싶습니다. 『나무열전』추천글 마지막 부분을 옮겨 봅니다. <그가 이 책을 썼다. 나무에 대한, 나무로서의 자신에 대한 책, 언제나 조심스런 잎새에 가려 보이지 않던, 그의 곧은 줄기와 민감한 뿌리에 관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