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명중 - 박해람

2004.08.07 14:14

윤성택 조회 수:1406 추천:182

「명중」/ 박해람/ 『문학사상』2004년 8월호


        명중

        사내의 울퉁한 팔뚝에
        한 시절의 순정이 명중되어 있다
        그러나 그 무엇에다 명중시키기란 쉽지 않다는 것
        저 하트 모양에 박혀 있는 화살처럼
        깊이 박힌 다음에는 명중되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는 것이지
        누구나 알 수 있는 것은
        지금은 뒤쪽에서 덜 풀린 힘이 부르르 떨고 있는
        여진의 나날들이라는 것이지
        또한 허공으로 날아간 것들
        그 떠난 자리는 흔적이 없다는 것이지
        다만 죽음으로 가는 길 위에는
        누구나 명중되어 있다는 것이지

        기마족(騎馬族)들에게는 적에게 허점을 보일 때가 화살을 날릴 때란다
        그 무엇을 과녁으로 삼을 때가
        가장 방해받기 쉬운 때라는 것이지
        숨 한 번 고르는 시간이
        영원히 숨을 끊을 수 있을 때라는 것이지
        내 몸이 과녁이 되는 때라는 것이지

        아직 제대로 된 들숨 한 번 들이마시지 못한 시절인데
        명중의 시절이 내게로 와 박히는 시간일 수도 있다는 생각에
        마음 부르르 떨리는 때가 있다
        아직 깨끗한 과녁이 가끔 두렵다
        그러나 이 부르르 떨리는 것들, 고통은 늘 뒤쪽에 있다는 것이지
        그러다가 더 이상 떨림도 없을 때가
        내가 제대로 된 과녁이 되는 때라는 것이지
        사내의 울퉁한 팔에 박힌 그 화살처럼
        누군가의 마음에서 푸릇하게 사라져간다는 것이지.


[감상]
누구나 한번쯤 보았음직한 사내의 팔뚝에 새겨진 문신. 이 시는 그 하트 문신에 꽂힌 화살의 ‘여진’을 발견한 시입니다. 양궁 경기에서 과녁을 향해 날아온 화살이 화면가득 부르르 떨리는 모양을 본적 있습니다. 그 날아와 꽂히는 여정이 누구나 죽음으로 명중되어 있다는 사실, 그래서 숨질을 하며 살아가는 동안 우리는 끝끝내 과녁일 수밖에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너무 착하다거나 순수한 사람을 보면 두렵습니다. 그 마음에 꽂히게 될 수많은 상처이라는 화살을 예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작 두려운 것은, 적중확률 62억만분의 1이라는 콩알 크기의 과녁 정중앙 방송중계용 최첨단카메라를 박살내는 ‘인연’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671 그것이 사실일까 - 류수안 2004.10.13 1299 220
670 눈 반짝 골목길 - 정철훈 [1] 2004.10.12 1204 204
669 그 많은 밥의 비유 - 김선우 2004.10.11 1322 198
668 오래 닫아둔 창 - 신용목 [1] 2004.10.08 1456 173
667 전자레인지 - 김기택 2004.10.06 1253 187
666 냉장고 - 강연호 [2] 2004.10.05 1362 185
665 배달수씨에게 섭외된 편지들은 어디로 갔나 - 유미애 2004.10.04 1194 166
664 삼십 대의 병력 - 이기선 [2] 2004.09.01 1756 182
663 집으로 가는 길 - 김선주 [1] 2004.08.29 1892 181
662 달의 눈물 - 함민복 [1] 2004.08.24 2187 220
661 아직은 꽃 피울 때 - 하정임 2004.08.19 1792 197
660 수족관 너머의 눈동자 - 나희덕 2004.08.13 1511 177
659 화석 읽기 - 채풍묵 [1] 2004.08.11 1311 195
658 그 곳이 결국은, - 문성해 2004.08.09 1408 180
» 명중 - 박해람 [2] 2004.08.07 1406 182
656 시인의 폐허 - 성미정 2004.08.06 1262 193
655 스며들다 - 권현형 2004.08.04 1397 160
654 살구꽃이 지는 자리 - 정끝별 2004.08.02 1369 170
653 이파리의 식사 - 황병승 2004.07.30 1286 168
652 거의 모든것에 관한 거의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 - 김경주 [2] 2004.07.28 1913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