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선명한 유령 - 조영석

2004.11.15 10:42

윤성택 조회 수:1122 추천:165

「선명한 유령」/  조영석/  ≪문학동네≫2004년 가을호, 신인상 수상작 中


        선명한 유령

        그는 일종의 유령이므로 어디든 막힘없이 떠돌아다닌다.
        그의 모습은 선명하지만 누구의 눈길도 받지 않는다.
        다만, 개들이 알아채고 짖을 뿐이며 비둘기들이 모여들 뿐이다.

        그에게는 땅이 없지만 발을 딛는 곳이 모두 그의 땅이다.
        그는 사람의 집이 아닌 모든 집에 세 들어 살 수 있다.
        쥐와 함께 자기도 하며, 옷 속을 바퀴벌레에게 세 주기도 한다.

        그의 땅은 기후가 사납다. 폭우가 내리기도 하고
        폭설이 내리는가 하면 모래바람이 불기도 한다.
        그래도 그는 걱정이 없다. 그가 지나가면 그의 땅은 사라지므로.
        오히려 그가 입고 있는 옷은 물과 먼지를 빨아들여 갑옷처럼 단단해진다.
        그의 옷은 그의 살갗이다.

        그의 몸은 카드와 화투 마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가 그것들을 먹었는지 그것들이 그를 먹었는지 알 길은 없다.
        분명한 것은 그것들이 발효된다는 사실이다.
        그에게서는 썩어가는 생선대가리 냄새가 난다.

        사람들, 저마다 작은 집과 작은 땅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자기 몸만큼의 권리를 지닌 채 실려가는 지하철에서 나는
        그를 본 적이 있다. 그는 칠 인용 의자에 누워 있었다.
        그가 누우면 의자는 침대가 되었다.
        그가 움직이면 그 칸은 그의 전용객차가 되었다.
        그의 냄새 앞에서 사람들은 권리를 주장하지 못했다.
        그는 냄새의 포자를 뿌리며 번식한다.
        포자를 덮어쓴 사람들은 잠재적 유령이 된다.

        그가 걷는 길이 곧 그의 길이며, 그가 먹는 것은 모두 음식이다.
        일단 그가 되고 나면, 그를 막을 자는 아무도 없다.
        그는 냄새로만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그는 일종의 유령이다.



[감상]
죽은 사람의 혼령을 유령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시에서의 유령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랑자입니다. 묘하게도 유령에 대한 두려움이라든가 혹은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전조까지 이 시는 ‘그’와 ‘유령’을 동일한 것으로 묘사해냅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이제 유령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선명한’ 실존의 것입니다. 이 접점에서 시적인 직관이 작용된 것이겠지요. 지하철을 떠도는 그는 '무관심' 때문에 도통 보이지 않았던 유령인 셈입니다. 그가 곁에 왔을 때 그의 실존에 두려움을 느끼며 코를 틀어막는 사람들에게는 말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691 심장의 타종 - 박판식 2004.11.19 1332 176
690 나무는 지도를 그린다 - 송주성 [4] 2004.11.17 1455 183
689 달팽이 - 전다형 [1] 2004.11.16 1574 172
» 선명한 유령 - 조영석 2004.11.15 1122 165
687 방바닥에 떨어진 머리칼 - 박형준 2004.11.12 1214 177
686 눈 내리니 덕석을 생각함 - 박흥식 [3] 2004.11.09 1160 164
685 아마추어 레슬링 선수의 슬픈 두 귀 - 박후기 2004.11.08 1139 170
684 정류장 - 안시아 2004.11.06 1654 194
683 뗏목 - 조은영 2004.11.04 1267 179
682 도배를 하다가 - 문신 2004.11.02 1259 181
681 정비공장 장미꽃 - 엄재국 2004.11.01 1108 183
680 이탈 - 이장욱 2004.10.28 1407 191
679 옛 골목에서 - 강윤후 [1] 2004.10.26 1730 203
678 찢어진 방충망 - 이기인 2004.10.25 1521 182
677 함평 여자 - 이용한 [2] 2004.10.23 1281 205
676 폭설, 민박, 편지2 - 김경주 [1] 2004.10.22 1368 206
675 냄비 - 문성해 2004.10.21 1456 223
674 똥구멍으로 시를 읽다 - 고영민 [1] 2004.10.19 1563 198
673 타워크레인 - 고경숙 2004.10.18 1225 209
672 가을, 도서관에서 - 남궁명 [2] 2004.10.14 1641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