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늙은 정미소 앞을 지나며 - 안도현

2003.04.21 13:24

윤성택 조회 수:1044 추천:155

2002년 현대문학상 수상시집 中 / 안도현/ 현대문학





        늙은 정미소 앞을 지나며


        왼쪽 어깨가 늙은 빨치산처럼 내려앉았다
        마을에서 지붕은 제일 크지만 가재도구는 제일 적다
        큰 덩치 때문에 해 지는 반대쪽 그늘이 덩치만큼 넓다
        살갗이 군데군데 뜯어진 덕분에 숨쉬기는 썩 괜찮다
        저녁에는 나뒹구는 새마을 모자를 주워 쓰고
        밥 냄새 나는 동네나 한 바퀴 휙 둘러볼까 싶은데
        쥐가 뜯어먹어 구멍난 모자 속으로 별들이 쏟아질까 겁난다
        어두워지면서 못 보던 쥐들이 찾아와서 쌀통이 비었네,
        에구, 굶어죽게 생겼네, 투덜대며 뛰어다니는 통에 화가 좀 났다
        그럼 바닥에 수북한 까맣게 탄 쌀알 같은 쥐똥은 뭐란 말인가
        밤이 되니 바람이 귓밥을 파주겠다며 달그락거린다
        그렇다고 눈물 질금거리는 전등 따위 내걸지 않는다
        혹자는 이미 죽어 숨이 넘어간 목숨이라는데
        아직은 양철 무덤을 삐딱하게 뒤집어쓰고 버틸 만하다



[감상]
요즘 내가 관심을 갖는 것이 들뢰즈의 '생성 혹은 되기'입니다. 이 시를 그의 이론에 비춰본다면 '늙은 정미소 되기'겠지요. 이 시는 늙은 정미소가 바라보는 일상의 풍경을 애잔하게 보여줍니다. 화자인 늙은 정미소는 겁이 났다가 화를 냈다가 혹은 스스로 안위합니다. 이렇게 가장 인간적인 면을 정미소의 성격으로 부여하는 시인의 솜씨는 정말 다시 봐도 새롭습니다. 특히 '그럼 바닥에 수북한 까맣게 탄 쌀알 같은 쥐똥은 뭐란 말인가'의 논리가 인상적입니다. 그동안 나는 보여주고 스케치하는 데에만 치중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깨달음을 갖게 하는 시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31 봄날 - 김기택 2003.05.19 1389 156
430 낯선 길에서 민박에 들다 - 염창권 2003.05.16 1024 161
429 철자법 - 문인수 2003.05.15 1024 166
428 천막교실 - 김경후 2003.05.13 1021 163
427 구름궁전의 뜨락을 산책하는 김씨 - 이덕규 2003.05.12 1023 169
426 봄 꽃나무 아래 서면 - 권현형 2003.05.09 1139 178
425 하늘 민박 - 김수복 2003.05.07 1174 166
424 귀 - 장만호 [1] 2003.05.06 1158 209
423 그녀의 염전 - 김선우 2003.05.02 1143 173
422 경비원 박씨는 바다를 순찰중 - 강순 2003.04.30 1025 160
421 꽃멀미 - 이문재 2003.04.29 1266 150
420 산딸나무 - 고현정 2003.04.28 1099 167
419 4월의 꽃 - 신달자 2003.04.25 1196 168
418 꽃 속의 음표 - 배한봉 2003.04.23 1092 187
417 누가 내건 것일까 - 장목단 2003.04.22 1088 152
» 늙은 정미소 앞을 지나며 - 안도현 2003.04.21 1044 155
415 주름 - 강미정 2003.04.18 1170 173
414 단봉낙타의 사랑 3 - 박완호 2003.04.17 1006 163
413 목단꽃 이불 - 손순미 2003.04.15 1075 149
412 더딘 사랑 - 이정록 2003.04.14 1303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