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최금진

2003.03.06 13:43

윤성택 조회 수:1398 추천:174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최금진/ 『창작과비평』 2003년 봄호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엄마는 오지 않았다
        누나는 추워서 노루처럼 자꾸 웃었다 밤새
        쥐들이 사람의 목소리로 문고리를 잡아 당겼고
        누나는 초경을 했는데 받아낼 그릇이 없었다
        두부 같은 누나의 살들이 부서질까봐 나는
        자꾸 이불을 끌어 덮어주었다
        대접 속에 얼어붙은 강은 녹지 않았다
        나는 벽에 걸린 엄마 사진이 부끄러웠다
        뒷문을 열고 내다보면 하얗게 늙은 애들
        군가를 부르며 지나갈 때마다
        누나는 콩나물처럼 말갛게 속살이 익어갔다
        밥상을 차리며
        나는 눈물이 나왔다, 군불을 때면
        아지랑이가 눈알 속에 피어오르고
        거뭇거뭇해진 내 입 주위에도
        변성기가 우르르 사나운 눈발처럼 달라붙었다
        아아, 엄마, 나는 무엇을 잘못한 걸까요
        밤이면 몰래 손톱으로 가려운 몸을 긁어댔다
        엄마는 오지 않았고
        겨울밤의 흰 문종이를 뚫고 몽유병처럼
        신음 소리를 흘려보내는 누나를 부둥켜안고
        나는 오지 않은 봄을 향해 달려나갔다
        엄마야...... 누나야...... (제발)
        강변 살자......

        

[감상]
시의 울림의 주위에는 이렇듯 '절실함'이 있습니다. 이 시는 엄마의 부재 속 누나와의 삶을 긴장된 묘사로 끌어들여 독자를 화자의 감정에 이르게 합니다. 사실 이런 절박감은 소재주의나 극적 포즈와의 위태로운 외줄타기가 되기 십상이어서, '감정'과 '감상' 사이 균형 잡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그런 우려는 기우일 뿐입니다. 인간 내면에 깔린 순수한 본질을 심미적으로 투영해 내는 감성의 눈이 돋보인다고 할까요. 특히 '거뭇거뭇해진 내 입 주위에도/ 변성기가 우르르 사나운 눈발처럼 달라붙었다'처럼 직유를 만들어 내는 솜씨는 이 시인만이 갖고 있는 뛰어난 직관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끔씩 생각해보는데 이 시인의 첫 시집이 참 기다려집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11 흑백다방 - 정일근 2003.04.11 1226 177
410 얼굴 없는 기억 - 김일영 2003.04.10 1127 146
409 활엽수림 영화관 - 문성해 2003.04.08 1087 183
408 봄소풍 - 박성우 2003.04.07 1295 165
407 달밤에 숨어 - 고재종 2003.04.03 1154 161
406 때늦은 점심 - 이지현 [1] 2003.04.02 1085 158
405 암각화 - 오탁번 2003.04.01 931 165
404 상상동물 이야기·5 - 권혁웅 2003.03.28 978 154
403 노인과 수레 - 안시아 2003.03.26 1235 194
402 생선 - 조동범 [1] 2003.03.21 1213 160
401 오래된 부채 - 천수호 2003.03.20 1064 199
400 술병 빗돌 - 이면우 [1] 2003.03.18 1074 176
399 구름, 한 자리에 있지 못하는 - 이명덕 2003.03.17 1046 179
398 나무 - 안도현 [1] 2003.03.15 1672 163
397 어머니 방 - 조숙향 2003.03.13 1221 166
396 25時 체인점 앞에서 - 최을원 2003.03.12 1069 172
395 탈피 - 박판식 2003.03.11 1072 208
394 오래된 가구 - 마경덕 2003.03.10 1125 200
393 그들의 봄밤 - 김수우 [1] 2003.03.07 1184 168
»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 최금진 2003.03.06 1398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