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UN성냥 - 유형진

2005.06.07 17:12

윤성택 조회 수:1205 추천:211

UN성냥 / 유형진/ 《내일을 여는 작가》2005년 봄호


  UN성냥

  고양이가 테이블 위의 성냥갑을 밟고 지나간다

  빌딩 난간 위에서 사람들은 성냥개비가 되어 떨어져 내린다.  유황
을 바른 붉은 머리, 몸은 얇은 사각의 나무막대가 되어 떨어진다. 도
시는 이제 한 개비의 성냥도 받아주기 힘든 상황이다.  이 도시엔 어
제도 내일도 없고 아기를 키우는 공포와 질긴 목숨을 연명하는 일만
남았다.  성냥개비로 변하며 떨어지는 사람들의 눈에선 성탄 케이크
에 꽂힌 초의 촛농 같은 눈물이 흐른다.  눈물은  흘러내리기도 전에
볼 위에서 굳어간다.  성냥개비들이 아스팔트를  들이받으며 머리통
에 불이 붙는다. 성냥개비가 되지 못한 낙상자들의 시체와 점화되지
못하고 부러진 성냥개비가 거리에 쌓여간다. 이 도시에는 이제 젖먹
이를 가진 여자들만이 유일하게 간절하다. 남자들은 빛깔 좋은 넥타
이로 목을 매거나  사우나 실에서 두건을 쓴 채 죽어가고,  방송국에
선 먼지 낀 마그네틱테이프에 담긴 캐럴송을 송출하고 있다. 지그지
그, 징글, 징글, 징글벨 캐럴송이 타오른다.

[감상]
성냥갑이 엎질러져 쪼그리고 앉아 하나씩 주워 담아본 적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인지 성냥갑이 쏟아지는 일에는 난감함과 곤란함이 앞섭니다. 이 시는 그런 이미지로 현대사회와 매치시키며 사유를 진전시키는 흐름이 좋습니다. 고양이가 밟고 간 성냥갑이 바닥에 떨어지는 그 짧은 풍경이 클로즈업되면서, 삶과 죽음 혹은 공포가 재배열됩니다. 특히 화자의 간절함은 <아기를 키우는 공포>와 <젖먹이를 가진 여자>에게 가닿아 <생명>에 대한 의미를 곱씹게 합니다. 그래서 어느덧 징글맞은 <징글, 징글, 징글벨>이 상식이 되었나봅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 UN성냥 - 유형진 2005.06.07 1205 211
770 간질, 꽃이 꽃 속으로 들어가 - 이덕규 2005.06.03 1262 216
769 봄밤 - 이기철 [1] 2005.06.02 1604 208
768 노숙의 날들 - 박홍점 [1] 2005.05.31 1246 189
767 실명 - 최문자 2005.05.30 1208 194
766 시정잡배의 사랑 - 허연 [2] 2005.05.29 1262 165
765 엘리스네 집 - 황성희 2005.05.26 1318 180
764 아직 우리는 말하지 않았다 - 이수익 [1] 2005.05.25 1535 206
763 즐거운 삭제 - 이신 [1] 2005.05.24 1585 206
762 거품인간 - 김언 2005.05.18 1660 235
761 등이 벗겨진 나무는 엎드려 울지 않는다 - 한우진 2005.05.13 1545 215
760 빗소리 - 김영미 2005.05.11 2041 218
759 저물어가는 강마을에서 - 문태준 [1] 2005.05.06 1817 221
758 시간의 동공 - 박주택 [1] 2005.05.02 1426 194
757 구름의 뼈 - 배용제 [1] 2005.04.29 1495 188
756 문병 - 한정원 [3] 2005.04.28 1336 185
755 민들레 - 김상미 [4] 2005.04.26 2339 217
754 문 열어주는 사람 - 유홍준 [1] 2005.04.25 1802 186
753 장미의 내부 - 최금진 [5] 2005.04.23 1657 181
752 다음 정류장은 주식회사 기린 - 이영옥 [2] 2005.04.22 1380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