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진심의 구조

2025.08.20 14:34

윤성택 조회 수:28

.

진심이라는 단어를 열고 들어가 본다. 거짓 없이 어떤 참됨이 전체를 짜 이룬 얼개. 속을 드러낸 마음의 기초와 같을까. 하지만, 진심이야? 진심이냐고? 두 번 물어오는 사람에게는 차라리 말하지 않는 게 정답일 수도 있다. 그건 숨기는 게 아니라, 끝내 잃고 싶지 않은 것을 지키는 일과도 같다.

 

상대의 진심에 가닿는다는 건 그가 설계한 감정과 기억의 구조물 앞에 잠시 멈춰 서게 되는 것일지도.

 

뉴스에서는 누군가의 진심을 파악하기 위해 묻고 또 묻는다지만 정작 대답은, 거부합니다.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치는 심(), 그 안에서 비밀이 속내를 가두고 있는지도 모른다. 새벽녘 불 켜진 창문도 그 안에서 누가 깨어 있는지 끝내 알려주지 않는다. 다만 불 켜진 동기만 남아 있을 뿐. 그럼에도 질문은 재료이고 대답은 시공이라서 진심은 결국 스스로의 원형을 드러내게 되어 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을 알게 되어 그 사람의 진심을 본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기도 하다. 요즘 같은 사회에서는 진심을 보여주는 것 자체가 두려우니까. 악용되고 이용당하고 끝내 상처로 남을 수도 있으니까. 이런 각박한 세상에 누가 진심을 말해줘도 무슨 속셈인지 의심부터 하게 된다. 적당한 거리에서 또 적당한 표정으로, 그렇게 적당한 친분이 창궐하고 있다.

 

때로 이 걷잡을 수 없는 관계에서 벗어나려 산에 오르곤 한다. 한여름 흘린 땀만큼 공기를 폐에 들여놓을 때, 자연이 이룩해 놓은 초록이 진심 그 자체로 다가온다. 치자나무의 속일 리 없는 꽃들과 속을 수도 없는 향기가 내게로 묻어난다. 그 앞에서야 비로소 내 안의 말들이 불필요해진다. 마치 경이로운 건축 앞에서 숨만 고르게 되는 것처럼. 두 눈을 마주한 채 또박또박 말하는 이의 눈빛에 그윽해지는 것처럼.

 

진심의 구조란 곧, 무너지지 않는 신뢰라는 것을 믿고 싶은 날이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74 혹시 2025.08.27 12
» 진심의 구조 2025.08.20 28
172 완전히 젖지도, 마르지도 못한 채 2025.08.13 42
171 Zorgartneseca (조르가르트니세캬) 2025.08.06 34
170 핑, 2025.07.30 39
169 텀블러 2025.07.23 36
168 젖은 우산은 세 번 털어야 한다 2025.07.16 47
167 상상 2025.07.09 43
166 무더워서 무던하다 2025.07.02 40
165 시간차 2025.06.25 52
164 마음의 안쪽은 어디로 통하는가 2025.06.18 56
163 그늘 2025.06.11 47
162 어떻게든 그날은 온다 2025.05.28 325
161 흥얼거린다는 건 2025.05.21 324
160 단추 2025.05.14 317
159 신발만 담아 주세요 2025.05.07 333
158 새로 산 청바지 2025.04.30 318
157 봄과 여름 사이 2025.04.23 320
156 하늘이 파래서 2025.04.16 321
155 마음에도 관세가 있을까 2025.04.09 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