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시월이 취한다

2025.10.01 14:27

윤성택 조회 수:49

.

시월이 왔다. 걷다 보면 그늘도 살이 쪄 간다. 추위를 대비해서 볕을 어둠에 불리는 건지, 슬슬 해가 짧아지기에 게을러진 건지 알 수 없다. 나도 별반 다르지 않아 하릴없는 허기에 진심인 사람이 되곤 한다. 휴일에 아주 천천히 시간을 따라 놓다 보면 저녁이 몸 안으로 흡수되어 있다.

 

한 잔의 와인, 한 모금의 시간, 그래서 와인은, 내게 '와 있는' 것이다. 가을볕을 섭취한 단풍나무가 잎들을 적색으로 촉진하듯, 시월이 구월을 거두어들여 신속하게 기억을 처분해 간다. 몇 년 전 일은 쉽게 생각에 물들지만 보름 전의 일은 좀체 가물가물하다. 숙성의 문제인가, 아니면 망각의 기술인가.

 

이 가을에 취해 위()가 위하는 바대로 펼쳐놓은 시를 읽는다. 눈빛은 행간 사이에서 감()을 운반해 와 나만의 성분으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반응한다. 그리움이 활성 되거나 고독이 과도히 분해되기도 한다. 분명, 이것은 취기다. 모든 독해에는 문장으로 얼근하여진 기운이 있다. 시월은 독서가 사람을 견디는 달이다.

 

삼차원 시공간에서 내가 관찰할 수 있는 세계는 활자가 쓰인 최초의 시간과 동시에 존재한다. 평생을 살아도 만날 수 없는 사람, 혹은 만나지지 않는 사람은 같은 문장에 눈빛이 닿는 순간, 앞으로의 시공간을 감당할 수 있다. 시간의 축을 무너뜨리며 물질로서의 대면을 가능케 하는 시차의 연대다.

 

한 권의 시집이 당신을 살다 간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 시월이 취한다 2025.10.01 49
178 걱정 말아요, 로 시작되는 2025.09.24 57
177 우중(雨中) 복제 2025.09.17 61
176 모바일 주민등록증 2025.09.10 57
175 좋은 사람 감상 모임 2025.09.03 60
174 혹시 2025.08.27 65
173 진심의 구조 2025.08.20 59
172 완전히 젖지도, 마르지도 못한 채 2025.08.13 66
171 Zorgartneseca (조르가르트니세캬) 2025.08.06 55
170 핑, 2025.07.30 59
169 텀블러 2025.07.23 54
168 젖은 우산은 세 번 털어야 한다 2025.07.16 73
167 상상 2025.07.09 74
166 무더워서 무던하다 2025.07.02 59
165 시간차 2025.06.25 70
164 마음의 안쪽은 어디로 통하는가 2025.06.18 79
163 그늘 2025.06.11 68
162 어떻게든 그날은 온다 2025.05.28 350
161 흥얼거린다는 건 2025.05.21 345
160 단추 2025.05.14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