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일조량

2025.11.05 14:53

윤성택 조회 수:1

·

며칠 차이로 은행잎이 더 샛노랗고 단풍이 붉다. 십일월의 기색이 확연해, 그 길을 걷는 얼마 동안 나도 일조량을 나눠 쬐게 된다. 햇볕 아래 드러난 민낯. 인상을 쓰고 다녔던 날들이 어떤 성과만 같았던 때도 있었지. 늦가을이 파벌을 이뤄 나무들을 주도하는 거라면, 높게 뜬 구름은 한때 나의 주눅 든 피로를 닮았을까. 공기는 맑은데 탁한 것들만 기억에 다녀간다.

 

산책을 하면서 늘 가던 데를 벗어나 더 걸어보지 않는 건 왜인지. 시계를 보면서 휴식을 잰다는 생각이 앞서면, 길은 다만 되돌아와야 할 동선일 뿐이라서인지. 아까 샛길로 목줄을 쥐고 사라졌던 사람이 저만치 앞에 와 있을 때, 마음도 지름길이 있는 건 아닐까. 가령, 내가 오해를 앞질러 간다면 거기에 사랑이 서성거리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과정에서 환승이 보인다, 더 천천히 걸었던가.

 

설악산에서 시작된 단풍이 내장산까지 도달하는 데는 약 한 달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던데, 내게서 출발한 감정은 또 얼마의 시간을 마련해 가며 어느 정감에 닿을까. 나무가 놓아주는 낙엽들, 그것도 다른 나무에게 알리는 타전이라고 생각해 본다.

 

자작나무 숲을 터전으로 삼은 어느 부족은 낙엽을 고인이 보내는 점지라 불렀다지. 나뭇가지에서 떨어지는 잎 하나하나가 이승의 누군가가 보내는 안부라 했다. 그래서 그들은 가을날 바람에 날아온 낙엽이 옷자락에 닿으면 그것을 조심스레 품에 넣어 집으로 가져갔다고. 누군가 자신을 그리워하고 있다며.

 

그렇다면 이 가을, 가장 늦게 떨어지는 낙엽은 깊은 사랑을 품고 있다고 믿어도 될까. 나무가 마지막까지 놓지 못한 잎사귀니까. 그래서 그 부족은 첫눈이 내리기 직전까지 가지에 남은 잎을 가장 귀한 부적으로 여겼다지. 그것을 베개 밑에 넣고 자면, 자신이 그리운 이를 꿈에서 만날 수 있었다고.

 

동화가 가을을 읽어도 시로 이해되는 건 다 일조량 탓이다. 구름이 높게 떴기 때문이다. 무리지은 은행나무가 흩날렸기 때문이다. 산책하다 짖는 개를 또 봤기 때문이다.

 

내가, 나를 오래 들여다봤기 때문이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 일조량 new 2025.11.05 1
182 밤은 왜 가여운가 2025.10.29 15
181 여기는 어디인가 2025.10.22 24
180 생각이 같으면 2025.10.15 25
179 시월이 취한다 2025.10.01 59
178 걱정 말아요, 로 시작되는 2025.09.24 63
177 우중(雨中) 복제 2025.09.17 68
176 모바일 주민등록증 2025.09.10 64
175 좋은 사람 감상 모임 2025.09.03 67
174 혹시 2025.08.27 69
173 진심의 구조 2025.08.20 62
172 완전히 젖지도, 마르지도 못한 채 2025.08.13 69
171 Zorgartneseca (조르가르트니세캬) 2025.08.06 59
170 핑, 2025.07.30 61
169 텀블러 2025.07.23 57
168 젖은 우산은 세 번 털어야 한다 2025.07.16 84
167 상상 2025.07.09 85
166 무더워서 무던하다 2025.07.02 63
165 시간차 2025.06.25 73
164 마음의 안쪽은 어디로 통하는가 2025.06.18 81